[더팩트ㅣ이성락 기자] 삼성서울병원과 삼성전자는 'S-AEC를 통한 의료 방사선 최적화: 복부 영상 내 임상 적용'을 주제로 백서를 발간했다고 4일 밝혔다.
S-AEC는 삼성전자의 이동형 디지털 엑스레이 기기에서 선량 조절이 필요한 인체 영역을 자동으로 감지하고, 환자 체형에 최적화된 선량을 조사하는 기능이다. 포터블 촬영에서도 균일한 품질의 영상을 얻을 수 있으며, 환자의 방사선량을 최소화해 안전성이 높다.
백서에는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정명진 교수가 1저자로 참여했다. 삼성전자의 이동형 디지털 엑스레이 'GM85'를 활용해 전후 복부 방사선 검사를 진행했다.
환자 421명을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는 복부에 투입되는 목표 방사선량을 각각 5uGy(마이크로그레이), 3.54uGy로 설정한 S-AEC 사용군과 S-AEC 미사용군 등 세 가지 간의 차이를 평가하는 분산 분석으로 진행됐다.
연구 결과, 목표 방사선량을 각 5, 3.54uGy로 설정한 S-AEC 사용군은 S-AEC 미사용군 대비 방사선 노출 지수(EI)의 산포가 각 60%, 55% 감소해 영상 품질의 일관성이 향상됐다.
또한, 면적 선량(DAP)은 목표 방사선량에 따라 각 27%, 44% 줄어들었고 간, 신장, 장 등 장기별 적절한 시각화를 제공해 진단 화질이 유지됨을 확인했다.
특히 삼성전자가 선보인 S-AEC 기능은 고정형 디지털 엑스레이의 이온 챔버로만 사용 가능했던 AEC의 한계를 넘어 이동형 디지털 엑스레이 기기에서도 안정적으로 AEC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한 데 의미가 있다. 기술적 도약으로 거동이 불편한 환자의 입원 병실, 중환자실 등에서도 AEC를 활용한 검사가 가능해진 것이다.
정명진 교수는 "이동형 디지털 엑스레이 촬영 현장에서 복부는 흉부 대비 관전압이 낮고, 환자 체형에 따라 두께 차이가 커 적절한 노출을 달성하기 어려웠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임상 환경에서 전반적인 영상 화질을 유지하면서도 방사선량을 40% 이상 줄일 수 있었다는 점에서 유의미한 결과를 갖는다"고 말했다.
장우영 삼성전자 의료기기 사업부 디지털 엑스레이 사업팀 팀장은 "이동형 디지털 엑스레이 촬영에서 S-AEC 기능이 구현됨에 따라 우수한 영상 품질 제공에서 나아가 환자의 방사선량을 최소화해 안정성을 강화했다"며 "삼성전자는 이를 통해 환자 방사선량 관리를 위한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rocky@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