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가계대출 5조 안팎 증가…4년 만에 최대
  • 최수빈 기자
  • 입력: 2025.03.02 17:17 / 수정: 2025.03.02 17:17
정부, 5일 부동산 시장 점검 회의 개최
지난달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이 5조원 안팎으로 늘면서 정부가 오는 5일 부동산 시장 점검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뉴시스
지난달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이 5조원 안팎으로 늘면서 정부가 오는 5일 부동산 시장 점검 회의를 개최할 예정이다. /뉴시스

[더팩트ㅣ최수빈 기자] 지난달 금융권 가계대출이 4년 만에 최대 증가폭을 기록했다. 정부는 이례적인 대출 증가세를 예의주시하며 대응 방안을 검토 중이다.

2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달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이 전달보다 5조원 내외로 증가했다. 연초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이 이같이 큰 폭으로 증가한 것은 2021년 2월 이후 4년 만이다.

은행권의 가계대출은 전월 대비 약 3조원 증가했으며 2금융권도 1조원 중반대를 기록하면서 전체적으로 5조원 안팎의 증가세를 보였다.

금융당국은 새 학기 이사 수요 및 설 연휴 영향으로 대출 수요가 늘어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다만 연초부터 증가 폭이 이례적으로 큰 만큼 대출 흐름을 면밀히 관리할 방침이다.

금융당국이 이를 주시하는 이유는 지난해 4월부터 7월까지만 해도 가계대출의 증가폭이 4조~5조원이었으나, 8월 들어 수도권을 중심으로 10조원대까지 증가폭이 커졌기 때문이다. 이에 정부는 오는 5일 국토교통부, 금융당국과 함께 부동산 시장 점검 회의를 열어 대응 방안을 논의할 계획이다.

현재 검토 중인 방안에는 다주택자의 신규 주택 구입을 위한 주택담보대출 제한, 부동산 갭투자(시세차익을 목적으로 주택 매매가와 전세가의 차액이 적은 집을 고른 후에 전세 세입자를 구하는 것) 방지를 위한 조건부 전세자금대출 금지 등이 포함됐다. 다만 미분양이 심각한 지방 지역은 규제에서 제외될 가능성이 크다.

이와 함께 금융당국은 오는 7월 시행 예정인 3단계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에서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스트레스 금리를 차등화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또한 하반기부터 90%로 일원화되는 전세대출 보증 비율을 수도권에 한해 추가로 낮추는 방안도 논의 중이다.

subin7134@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 ※ 이 기사는 팬앤스타에 제공되고 있습니다. 댓글 19개 보러가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