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최의종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보조금 불확실성과 미·중 경쟁 심화로 어려움을 겪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 무탄소 전력공급 체계 개발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는 27일 서울 중구 상의회관에서 산업통상자원부와 공동으로 제4차 산업부문 탄소중립 정책협의회를 개최했다. 회의에는 박일준 대한상의 부회장과 강감찬 산업부 산업정책관, 황호송 삼성전자 상무, 최광문 SK하이닉스 부사장 등이 참석했다.
회의에서는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전력수요 증가에 대비하고 탄소중립 이행을 위해 충분한 무탄소 전력공급과 분산 전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은 전력 의존도가 높다. 이에 전력 사용으로 발생하는 온실가스 비중도 높다.
대한상의에 따르면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의 전력 사용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간접배출)은 전체 배출량의 약 74%다. 철강 14%, 석유화학 34%와 비교하면 비중이 높다. 대한상의는 전력 생산 과정에서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무탄소에너지 공급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한상의 관계자는 "반도체 클러스터 신규 투자와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증가에 따른 전력수요 폭증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송전망 적기 건설뿐 아니라 분산형 전원 활용이 매우 필요했다"라고 말했다.
분산전원은 중앙집중형 발전 방식과 달리 전력을 소비하는 곳과 가까운 지역에서 생산하는 개념이다. 무탄소 전력 활용에 쉽고 전력망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 발전소와 전력 소비처를 연결하는 송전망 건설이 쉽지 않은 만큼 분산 전원 시스템이 중요하다는 것이 대한상의 주장이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 온실가스 배출 중 18%를 차지하는 공정가스에 대체가스 개발이 시급하다는 주장도 있었다. 반도체 식각·증착·세정공정에서 사용하는 특수가스는 수소불화탄소와 과불화탄소 등이다. 이들은 이산화탄소보다 지구온난화지수가 더 강력하다.
업계에서는 업종 규제보다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반도체업계 관계자는 "탄소중립 핵심은 지구온난화지수가 낮은 대체가스를 연구·개발하는 것"이라며 "대체가스 개발에 정부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디스플레이업계 관계자는 "2023년에 2019년 대비 약 50% 이상 온실가스를 감축했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산업이 국가첨단전략산업이라는 것을 고려해 규제보다는 업계 부담을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시행해달라"고 전했다.
홍성민 LG전자 ESG전략 담당 임원은 "가전업종은 국내외 탄소규제 외에도 글로벌 고객사에서 탄소중립 이행실적 정보, 재생에너지 사용 확대 등 요구가 증가한다"라며 "수출가전제품 생산기업 탄소중립 이행과 재생에너지 안정적 수급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라고 했다.
강감찬 산업부 산업정책관은 "비용효율적 탄소중립을 위해 CFE(무탄소에너지) 글로벌 작업반을 구성해 인증기준을 마련하고, 온실효과가 높은 공정가스를 대체할 대체가스 개발과 실증, 상용화에 적극 지원하겠다"라고 강조했다.
bell@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