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 | 김태환 기자] 안철경 보험연구원장이 글로벌 보험사들의 국내 진출을 희망한다는 뜻을 밝혔다. 지금까지 국내 보험산업에서 혁신 사례를 돌이켜봤을 때 외국계 보험회사가 주도했으며, 경쟁력을 가진 건강한 보험 자본의 유입이 산업 경쟁력을 강화시킨다는 설명이다.
안철경 보험연구원장은 26일 서울 여의도 본사에서 신년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보험연구원의 올해 목표에 대해 설명하는 자리를 가졌다.
안 원장은 "한국에서 지금까지 보험시장 혁신 사례를 살펴보면 상품에 있어서는 종신보험이 있고, 푸르덴셜생명에서 시작됐다"면서 "그 뒤에 또 새로운 상품이 달러보험인데, 이 보험상품도 와자계인 AIG생명이 처음 도입해 확산했다. 판매채널에서도 텔레마케팅(TM)채널을 활성화한 것 역시 라이나생명이었다"고 입을 열었다.
그는 "이렇듯 혁신적 보험 서비스 내지는 보험상품들이 해외에 있던 보험사 국내 들어오며 새로운 붐을 일으킨 것으로 기억한다"면서 "국내 보험산업에 있어서 혁신을 동반한 특화 보험을 활성화학기 위해 건강한 외자계 보험자본이 국내로 들어왔으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안 원장은 "그렇게 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보험사들이 다시 한국으로 들어올 수 있게 하는 규제 정책과 시장 여건이 필요하다"면서 "의미 있는 혁신을 위한 건강한 보험 자본 구축과 보험사 규모와 성격에 따라 각각의 걸맞는 규제 서비스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안 원장은 보험연구원의 여러 과제들 중 중점적으로 힘을 쏟아야 하는 사안을 '일반보험 연구 강화', '생보시장 보험산업 경쟁력 확보'. '보험업권 신뢰 회복' 등 세 가지로 꼽았다.
그는 "기후변화와 디지털 혁신으로 인해 일반보험에 대한 시장 연구가 필요하다"면서 "LA산불 사건에서도 보듯 앞으로 자연재해와 기후변화, 디지털환경 변화가 가속화되는 가운데 보험회사 위험보장에 대한 역량이 없으면 글로벌 회사로 나가긴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생보시장과 관련해 안 원장은 "생명보험의 경우 자산운용역량 강화가 필요하며, 올해부터는 CIO포럼, 자산 쪽 다양한 연구들을 통해 보험회사의 수익률 관점에서 어떻게 경쟁력 확보할수 있을 것인지를 연구하겠다"고 덧붙였다.
보험업권 신뢰와 관련해서 그는 "보험회사가 보험산업을 활용해 새로운 비즈니스로 나아가려면 보험산업이 소비자와 금융당국 등에 신뢰를 기반으로 해야 한다"면서 "소비자 신뢰 확보하는것이 매우 중요하며, 소비자 관점에서의 이해로 출발해 보험소비 신뢰지수 등을 개발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kimthin@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