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성락 기자]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이 "리더들이 질문을 회피하지 않고 용기를 갖춰 해법을 찾아내 돌파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최 의장은 25일 서울 종로구 SK서린빌딩에서 2월 수펙스추구협의회를 열고 "삼각파도 등 급변하는 세계 정세 속에서 이해관계자들은 SK에 다양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수펙스추구협의회는 '따로 또 같이' 문화에 기반한 그룹 최고협의기구다. 매월 한 차례 모여 그룹 내 다양한 현안을 함께 논의하고 시너지 창출을 도모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는 장용호 SK㈜ 최고경영자(CEO), 박상규 SK이노베이션 CEO, 곽노정 SK하이닉스 CEO, 유영상 SK텔레콤 CEO 등 주요 계열사 CEO 20여명이 참석했다.
먼저 CEO들은 지난해 추진한 리밸런싱(사업 재조정)의 경과를 점검하는 시간을 가졌다.
SK그룹은 재무구조·사업구조 강화에 이은 운영 효율화로 실적 개선 흐름을 보이고 있다. 이에 각 계열사는 앞으로 운영 효율화에 더욱 집중해 체질을 혁신하고 인공지능(AI) 등 미래 시장을 선점할 체력을 비축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또 전기차 배터리 사업 캐즘(일시적 수요 정체) 현상의 지속, 고조되는 석유화학 업종 불황 등 그룹의 주요 사업과 관련해 외부의 우려가 있다는 점에도 인식을 같이했다.
최 의장은 반도체 사업의 지속적인 혁신, 배터리 밸류체인 캐즘 극복, 재무건전성 지속 강화, 리더들의 기본과 원칙 리더십 복귀 등을 SK그룹이 직면한 주요 당면 과제로 꼽았다.
CEO들은 관세 등 통상 환경 변화, 인플레이션, AI 등 삼각파도의 영향에 맞서 기민한 대응이 절실하다는 것에 공감했고, 운영개선(OI)을 고도화해 본원적 경쟁력을 확보하는 것이 선행돼야 한다고 의견을 모았다.
아울러 시장을 비롯한 이해관계자들의 질문과 우려에 대한 해법을 지속해서 찾아 답하는 것이 경영의 본질이고, 자본 시장에 대한 책무라는 취지에 공감했다. 각사와 리더에게 주어진 과제를 책임감 있게 풀어나감으로써 기대에 부응하자는 것에도 뜻을 모았다.
특히 미래 대비를 위해 올해도 OI에 나서 본원적 경쟁력을 확보하고, 미래 성장 분야인 AI 시장 선점 노력을 속도감 있게 진행하기로 결의했다.
앞서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본원적 경쟁력은 외부 환경에 흔들리지 않으면서 본질적으로 보유한 근본적이고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의미한다"며 "보다 신속하게 OI에 나서고 경영 내실을 강화하게 되면 본원적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강조한 바 있다.
최 의장은 마무리 발언에서 "리더들이 업의 핵심과 본질을 짚고 해법을 찾기 위해 노력해야 하며 그 어느 때보다 우리 스스로를 경계해야 할 시점"이라며 "솔선수범 리더십과 SKMS(SK그룹 고유 경영 철학) 회복을 바탕으로 성과를 실현해 나가자"고 밝혔다.
rocky@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