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황지향 기자] 에어프레미아는 내달 1일부터 국제항공운송협회(IATA)의 난기류 인식 플랫폼(ITA·IATA Turbulence Aware)을 도입한다고 24일 밝혔다.
이 플랫폼은 지난해 말 기준 전 세계 25개 항공사, 2600여대의 항공기가 이용 중인 시스템으로 난기류 정보를 실시간으로 수집·공유해 정밀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항공사들이 경험한 난기류는 총 1만4802건으로, 5년 전 대비 78% 증가했다. 이에 에어프레미아는 난기류 인식 플랫폼을 활용해 기존 예보 중심 대응 방식에서 실시간 정보 기반 대응 체계로 전환, 안전 항로를 확보할 방침이다.
예보된 난기류가 실제 발생하지 않는 경우나 반대로 예보되지 않은 청천난기류(CAT)에도 즉각적인 대응이 가능해 승객 및 승무원의 안전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에어프레미아는 설명했다.
에어프레미아는 플랫폼 도입 외에도 운항 및 객실승무원 간 사전 브리핑을 통해 난기류 정보를 공유하고 GE 에어로스페이스의 비행 데이터 모니터링 시스템 '세이프티 인사이트'를 운영하는 등 안전성 강화를 위한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
고윤범 에어프레미아 안전보안실장은 "IATA의 표준화된 난기류 대응 프로그램 도입으로 고객 신뢰도 향상과 안전 이미지 제고에 기여할 것"이라며 "승객들에게 더욱 안전하고 쾌적한 비행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hyang@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