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우지수 기자] 최태원 SK그룹·대한상공회의소(대한상의) 회장이 미국 측과 교류에서 소기의 성과를 모두 달성했다고 밝혔다. 최 회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민간 경제사절단을 이끌고 미국을 찾았다.
최 회장은 지난 21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에서 열린 최종현학술원의 '트랜스 퍼시픽 다이얼로그(TPD) 2025'에 참석한 후 특파원들과 만나 경제사절단 방미에 대해 "원래 계획했던 성과들을 다 거뒀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최 회장은 "트럼프 행정부와 첫 번째 접촉이고, 이들이 어떤 생각을 하는지 들으며 소통을 시작하고 가능하면 그들이 흥미로워할 얘기를 한다는 것이 계획이었고, 그런 측면에서 성과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대한상의 경제사절단은 △조선 △에너지 △원자력 △AI·반도체 △모빌리티 △소재·부품·장비 등 6개 분야 한미 협력방안을 제시했고 이와 관련해 긍정적인 반응을 얻었다고 전했다.
최 회장은 "어느 일방이 베풀거나 요구를 들어주는 얘기가 아니라 같이 해서 좋은 것이 있어야 한다"며 "저희가 그런 것을 준비해왔고, 6개 분야를 다 상당히 좋아한다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부과에 대해선 "솔직히 미국 상품에 한국이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거의 없다. 하지만 비금전적 관세도 관세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며 "그 부분은 제가 협상할 얘기가 아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민간에서는 민간의 활력을 갖고 시너지있는 미래를 만들어가자는 것이 우리의 목표였고, 그런(관세에 대한) 얘기는 아마 다음번 한국 정부가 오면 얘기를 하게될 것이라고 했다. 저도 그렇게 얘기했고, 여기서도 그렇게 기대한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SK그룹 차원에서 대미 투자 계획에 대한 질문에 대해 "검토는 계속한다. 비즈니스가 필요한 투자는 하는게 당연하다"면서 트럼프 행정부 내 투자는 "인센티브가 같이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세금도 내리겠다고 했는데 아직은 뭐가 나온 것이 없다. 그러니 더 지켜봐야 한다"며 "인센티브도 꼭 돈만으로 따지는 것이 아닐 수도 있다. 여러 다른 종류의 인센티브가 있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SK하이닉스는 최대 4억5800만달러(약 6634억원)의 보조금을 받기로 했는데,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 보조금 재검토에 들어간 것으로 알려졌다. 이로 인해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우리나라 기업들이 약속받은 반도체 보조금 지급에 차질이 빚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해 최 회장은 "제가 얘기할 것은 아닌데 (미국) 정계 인사 중 한 분이 그것은 계속 잘 집행될 것(고 했다)"이라며 "실제 그것은 미국의 실리에 따라서 하겠다고 생각한 것이고 무조건 준다, 안 준다 이렇게하지는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다시 검토를 하겠다고 하니 그것이 나와야 한다"며 "지금 들어온 지 이제 한달 정도 됐다. 최소한 자기네들이 4월쯤 무엇인가 발표한다고 하니 그때까지 좀 기다려보자"고 언급했다.
index@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