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선영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우리은행 대규모 부당대출 책임과 관련해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 체제에서 직접 수습돼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 원장은 19일 오전 서울 중구 은행연합회에서 '은행장 간담회'를 마친 뒤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금감원이 (임종룡 우리금융 회장을) 그만두게 하려 한다는 시각이 있다는 걸 저희도 잘 알고 있다"며 "오히려 저는 우리금융에 파벌이 존재하고 내부통제가 틀어져 있는 상황에서 임 회장이 그만두면 거버넌스상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만큼 임기를 채우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금융 거버넌스가 흔들리지 않는 게 좋고 (회장이) 임기를 지키는 게 좋다고 생각하지만, 거꾸로 우리금융 회장과 우리은행장이 직을 걸고 조직의 체질개선을 위해 환골탈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천억 단위의 금융사고들이 뉴노멀이 될 정도로 퍼졌다는 점에서 금감원은 이 사안을 굉장히 심각하게 보고 있다"며 "부당대출 문제는 임종룡 회장이 직접 정리를 해야 한다"고 했다.
다만, 이 원장은 "경영실태평가와 자회사 편입 문제는 원칙대로 엄정하게 처리하겠다"며 "경영평가 등급이 좋게 나와도 아무 일도 없었다는 듯이 외연 확장을 마음껏 하라고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기업은행 부당대출 문제와 관련해선 "결국 끼리끼리 문화, 온정주의 문화, 외연 확장주의에서 비롯된 것"이라며 "은행권 부당대출이 굉장히 심각한 만큼 금감원은 아주 엄하게 들여다보고 더 큰 책임을 물을 생각"이라고 했다.
기준금리 인하에도 가산금리가 높게 유지되는 것에 대해선 "기준금리가 떨어지면 중앙은행, 금융회사들의 상호작용을 통해 전달된다"며 "보통 한 6개월 정도 걸린다는 점에서 지난 10월부터 시작된 금리인하의 흐름이 올해 1분기 정도부터 어느 정도 효과가 발생하지 않을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원장은 NH농협은행의 과도한 배당 지적에 대해 "과도한 배당으로 중장기적 성장 능력이 훼손되거나 수익, 건전성에 문제가 생기면 그것은 농협중앙회의 문제"라며 "지난 정기검사를 통해 긴밀하게 협의했고 지금도 농협중앙회뿐 아니라 지금 농협금융지주와도 협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애플페이 등 수수료 확대 우려에는 "애플페이의 수수료 부과가 가맹점 또는 소비자한테 전가되면 안 된다는 대원칙을 해당 카드사와 논의했다"며 "시뮬레이션을 좀 해봤는데 그것들이 소비자, 가맹점에 많은 피해를 초래할 수 있을 정도는 아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소비자와 가맹점의 피해가 전가되지 않을 수 있도록 업계의 현황을 점검할 것"이라며 "필요하다면 TF도 만들 것"이라고 부연했다.
아울러 이 원장은 토스의 신용정보법 위반 제재와 관련해선 "어느 분은 과하게 검사했다고 하고, 또 어느 분은 너무 봐준다고 한다"며 "뭐라고 말하기가 어렵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