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황준익 기자] 서울 용산구 한남5구역 재개발 조합의 집행부가 새로 꾸려졌다. 앞으로 한남뉴타운 다른 구역에 비해 늦어진 사업시행인가, 시공사 선정 등에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18일 정비업계에 따르면 한남5구역 조합은 지난 15일 조합 임원 선출을 위한 총회를 열고 새 조합장(1명) 및 감사(2명), 이사(10명)를 선출했다.
새 조합장에는 현재 조합장 직무 대행인 신상철 후보가 총 투표수 1198표 가운데 45.99%인 551표를 받아 당선됐다. 신상철 후보를 필두로 '원팀'을 구성한 감사 및 이사도 이사 후보 1명만 제외하고 모두 당선됐다. 압도적인 지지로 '원팀'이 뽑힌 건 그만큼 빠른 사업 속도를 원하는 조합원들의 의지가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새 집행부는 조만간 조합변경인가 신청을 하고 인가일로부터 임기 3년의 공식적인 활동에 들어갈 예정이다.
신상철 당선인은 선거 당시 △신속한 사업진행 △최고의 사업조건 시공자 선정 △조합원 재산가치 극대화 △전 조합원 중, 대형 평형 배정 등을 공약으로 내걸었다.
한남5구역은 현재 재개발 사업시행인가도 받지 못한 상태다. 지난해 11월 총회에서 사업시행계획안이 부결됐기 때문이다. 사업시행인가는 재개발 계획을 시장이나 구청장이 인가하는 행정절차다. 재개발 사업의 '8부 능선'으로 불린다. 이에 한남5구역 조합은 후속 인허가 절차를 수행할 수 없어 사업 지연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시공사 선정도 매듭지어야 한다. 시공사 선정의 경우 지난해 1, 2차 모두 DL이앤씨의 단독 입찰로 유찰됐다. 현행 도시 및 주거환경정비법상 시공사 선정 입찰에서 2회 이상 경쟁 입찰이 이뤄지지 않으면 건설사와 수의계약을 맺을 수 있다. DL이앤씨는 그동안 한남5구역 재개발을 수주하기 위해 오랜 시간 공을 들여왔다.
특히 조합장 후보 총 4명 중 신상철 당선인을 제외하고 모두 지명 또는 공개경쟁입찰을 최우선 공약으로 내걸었던 만큼 3차 입찰은 진행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업계에선 빠른 사업 진행을 위해서는 우선협상대상자 지정을 통한 수의계약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남5구역 관계자는 "새 집행부의 최우선 과제는 지난해 부결됐던 사업시행인가 총회를 여는 것"이라며 "현재 인가 총회를 먼저할 지 아니면 시공사 선정도 같이 할 지는 공식적인 임기가 시작된 이후 회의를 통해 결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남5구역 재개발은 서울 용산구 동빙고동 60번지 일대 18만3707㎡ 부지에 지하 6층~지상 23층, 아파트 51개동, 2592가구를 짓는 사업이다. 5구역은 한남뉴타운 재개발 사업 부지 안에서도 평지가 많아 입지가 좋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현 조합은 공사비로 3.3㎡당 916만원을 제안해 총공사비가 1조7580억원에 달해 한남4구역보다 더 크다.
신 당선인은 "올해 상반기에 사업시행인가를 신청하고 시공자를 선정과 감정평가를 진행하겠다"며 "내년에 분양신청을 하고 관리처분계획인가를 득해 2027년 하반기에 착공을 이뤄내겠다"고 강조했다.
plusik@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