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제조업 일자리…조선·반도체·자동차 늘고 섬유 줄어
  • 황준익 기자
  • 입력: 2025.02.17 15:33 / 수정: 2025.02.17 15:33
기계·전자·철강·디스플레이·금속가공·석유화학 작년 수준 유지
올해 상반기 제조업 중 조선·반도체·자동차업계 일자리가 증가하고 섬유업은 감소한다는 전망이 나왔다. /더팩트 DB
올해 상반기 제조업 중 조선·반도체·자동차업계 일자리가 증가하고 섬유업은 감소한다는 전망이 나왔다. /더팩트 DB

[더팩트|황준익 기자] 올해 상반기 제조업 중 조선·반도체·자동차업계 일자리가 증가하고 섬유업은 감소한다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고용정보원과 한국산업기술진흥원은 17일 이 같은 내용이 담긴 '2025년 상반기 주요업종 일자리 전망'을 발표했다.

기계, 조선, 전자, 섬유, 철강, 반도체, 자동차, 디스플레이, 금속가공, 석유화학 등 국내 10개 주력 제조 업종이 대상이다.

전년 동기 대비 고용 증가율을 기준으로 1.5% 이상이면 '증가', -1.5% 이상 1.5% 미만이면 '유지', -1.5% 미만이면 '감소'로 판단한다.

우선 조선 (4.1%·5000명), 반도체(2.2%·3000명), 자동차(1.6%·6000명) 업종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일자리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조선업의 경우 친환경 선박 수요 증가로 전 세계 선박 발주량이 늘어난 데 따른 것이다.

반도체도 글로벌 경기회복 기대로 인한 수요 개선과 인공지능(AI) 시장 성장에 따른 고부가 메모리 시장 호황 등으로 수출이 증가하며 고용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자동차는 내수 및 수출이 소폭 축소되지만 다양한 신모델 출시와 하이브리드 중심의 친환경차 확산 등으로 고용이 전년 동기 대비 증가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섬유업종은 유일하게 감소(-2.3%·4000명)가 예상됐다. 글로벌 보호무역 강화와 국내 주문자상표부착생산(OEM) 기업의 생산시설이 해외 이전으로 수출 및 생산 감소세가 지속되는 데다 소비자물가 상승에 따른 내수 부진이 영향을 끼친 탓으로 분석됐다.

석유화학(1.4%·4000명), 디스플레이(0.6%·1000명), 전자(0.3%·2000명), 금속가공(-0.5%·1000명)은 각각 전년 동기 대비 비슷한 고용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됐다. 기계 업종은 일반기계 산업의 내수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되지만 수출 정체로 고용이 전년 동기 수준(0.2%·1000명)으로 유지될 전망이다.

plusik@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