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직구 사기 주의보…소비자원, 피해 주의 당부
  • 이중삼 기자
  • 입력: 2025.02.14 09:11 / 수정: 2025.02.14 09:11
인스타그램·유튜브 통해 접속
지난해 11월 20일 인천 중구 인천공항본부세관 특송물류센터에서 관세 주무관들이 해외 직구 물품을 검사하고 있다. /뉴시스
지난해 11월 20일 인천 중구 인천공항본부세관 특송물류센터에서 관세 주무관들이 해외 직구 물품을 검사하고 있다. /뉴시스

[더팩트|이중삼 기자] 해외직구가 늘어나면서 판매자가 유명 브랜드를 사칭하거나 제품 판매 후 연락을 두절하는 등의 소비자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14일 한국소비자원(소비자원)은 국제거래소비자포털에 접수되는 해외 사기성 쇼핑몰에 대한 상담이 매년 증가하는 추세라고 밝혔다. 해외직구 사기성 쇼핑몰 상담은 지난 2021년 251건에서 2022년 441건, 2023년 1372건으로 급증했다.

피해 소비자 대부분은 인스타그램, 유튜브를 통해 사기성 쇼핑몰에 접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원이 2021년부터 2023년까지 접수된 해외직구 사기성 쇼핑몰 상담(2064건) 중 접속경로가 확인된 1821건을 분석한 결과 소셜미디어를 통해 접속하는 경우가 82.3%로 가장 많았다. 인스타그램이 41.8%(762건), 유튜브가 25.3%(460건)를 차지했다.

피해 소비자들은 소셜미디어의 콘텐츠나 맞춤형 광고에 연결된 외부 링크를 통해 해외 사기성 쇼핑몰에 접속했다. 피해 유형은 '브랜드 사칭'이 47.1%(972건)로 가장 많았다. 판매자가 유명 패션 브랜드를 사칭해 쇼핑몰을 운영하고, 결제 후 제품을 배송하지 않은 상태에서 연락을 두절하는 경우가 대다수였다. 이어 '저품질 제품 판매'가 46.5%(959건)로 뒤를 이었다.

소비자원은 해외직구 시 유명 브랜드 상품을 지나치게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소셜미디어 광고는 일단 의심해 볼 것을 당부했다. 또 피해 발생을 대비해 광고화면, 구매·결제 내역을 캡처하는 등 증빙자료를 남기는 것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js@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