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우지수 기자] 대형마트 의무휴업일이 주말일 때보다 평일일 때 주변 상권 매출이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3일 산업연구원(KIET)은 '대규모점포 영업규제 완화 효과와 정책 시사점'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신용카드 데이터를 활용해 대구와 청주 지역에서 시행된 대형마트 의무휴업일 평일 전환이 상권에 미친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 내용을 담았다.
산업연구원 연구 결과에 따르면 대형마트의 주말 영업이 가능해지면서 지역 내 대형마트가 존재하지 않는 지역과 비교해 대형마트 주변 상권의 매출이 3.1%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형마트 주변 요식업(3.1%)과 일부 유통업(편의점 5.6%, 기타 유통 6.7%)의 매출이 증가했다. 이는 대형마트 주말영업이 유동인구 증가를 유발하고 이는 주변상권 활성화로 이어졌다는 분석이다.
반면 전통적으로 대형마트와 경쟁 관계에 있는 소규모 유통업체의 매출 변화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다. 산업연구원 측은 대형마트의 영업규제 완화 효과가 소규모 유통점에 제한적이라고 해석할 여지가 많다고 설명했다.
산업연구원은 대형마트와 전통상권 간의 상생을 위해서는 단순한 규제 중심의 정책이 아닌 정교한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대형마트와 골목상권이 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정책적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는 조언이다.
일례로 대형마트가 전통시장과 협력해 마케팅을 진행하거나 전통시장 방문객에게 대형마트 편의시설을 개방하고 전통시장은 다양한 외식과 볼거리를 제공하는 방식을 도입할 경우 지역 상권이 활성화될 수 있다는 것이다.
대형마트 규제 완화에 대한 논의는 진행되고 있다. 서울을 비롯한 일부 지역에서는 대형마트 영업규제를 완화하는 지역을 점차 확대하고 있으며 소상공인 보호를 위한 대책을 검토 중이다.
산업연구원 관계자는 "온라인 중심으로 변화하는 유통환경에서 오프라인 유통점에 대한 규제보다는 대형유통과 전통시장 및 골목상권과의 조화를 이루는 정책이 추진돼야 한다"며 "대형마트가 지역 사회와 공존할 수 있도록 중소 유통업체와의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정부 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함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index@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