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세종=정다운 기자] 정부가 파리협정 세부규칙 확정에 따른 글로벌 탄소시장 활성화에 대응하기 위해 민간과 함께 간담회를 개최하고 탄소저감 활동 확대 방안 등을 논의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우리 기업의 탄소저감 활동 확대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산업·금융계 등과 ‘탄소시장 전문가 간담회’를 개최했다.
간담회는 지난해 11월 열린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에서 파리협정 제6조 세부규칙이 확정됨에 따라 실질적인 이행방안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
당시 COP29에서는 2035년까지 연간 1조3000억달러 이상을 글로벌 기후투자에 쓰는 것으로 당사국 간 협의했다. 이중 연 3000억달러는 개도국 지원을 위해 선진국 주도로 조성된다.
정부는 국제적으로 기업의 탄소시장 활용에 대한 규범적 안정성과 투자 유인이 확보돼 기업이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날 간담회에서 전문가들은 국제 탄소시장 활성화를 위해 신뢰성과 투명성 확보가 필수적이기 때문에 국가 간 감축 실적 거래를 위한 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국제 탄소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금융·정책 리스크를 면밀히 분석해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글로벌 금융기관들이 국제 탄소시장을 연계한 투자 모델을 확대하고 있어, 우리 기업들도 탄소 시장과 금융을 연계한 전략적 대응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취지다.
심진수 산업부 신통상전략지원관은 "COP29에서 확정된 파리협정 제6조에 따른 국제 탄소시장 변화에 우리 기업이 적극 대응해야 한다"며 "새로운 비즈니스 창출 기회를 확대할 수 있도록 국제 협력과 제도 정비를 지속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danjung638@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