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성락 기자] LG AI연구원은 지난 5일 서울 강서구 마곡 LG사이언스파크 글로벌라운지에서 백민경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와 '차세대 단백질 구조 예측 인공지능(AI)' 개발을 위한 공동 연구 계약을 체결했다고 6일 밝혔다.
단백질은 인체 모든 활동에 관여하는 대표 생체 분자 물질이다. 질병의 원인을 알아내고 신약과 치료제를 개발하는 전 과정에 활용할 수 있는 '디지털 세포 지도'를 만들기 위해선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는 기술이 필수적이다.
글로벌 빅테크들도 단백질 예측 AI 기술을 고도화하고 있지만 아직 단일 단백질 구조를 예측하고 설계하는 단계다. 사람 몸속에서 환경과 화학적 변화에 따라 다양한 상태로 존재하는 단백질의 구조를 예측하는 기술은 난제로 남아있다.
LG AI연구원은 단백질 구조 예측 분야에서 주목받는 연구자인 백 교수 연구팀과 협력해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넘는 단백질 다중 상태 구조 예측 AI를 올해 안에 개발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신약 개발은 물론 생명 현상의 비밀을 풀 수 있는 연결고리를 찾는다는 방침이다.
백 교수는 "단백질 구조 예측에서 AI는 중요한 도구이지만, 원리를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며 "LG AI연구원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검증과 실험으로 이어지는 단백질 구조 예측의 새로운 단계에 도전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순영 LG AI연구원 바이오지능랩장은 "알츠하이머와 같은 난치병의 비밀은 바로 단백질 구조에 숨어 있고, 복잡한 단백질 구조를 알아내는 것은 매우 어려운 도전적 과제"라며 "단백질 다중 상태 구조 예측 AI를 개발함으로써 마치 자물쇠를 푸는 것처럼 질병의 메커니즘을 이해하고 새로운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있어 획기적인 진전을 이룰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강조했다.
rocky@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