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최의종 기자] 3년 연속으로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 기업인 '한계기업' 비중이 최근 코스닥 상장기업을 중심으로 크게 높아지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자보상배율은 영업이익을 이자 비용으로 나눈 값으로, 재무구조가 부실해 어려움을 겪는 기업이 늘어난다는 의미다.
한국경제인협회(한경협)는 6일 G5(미국·일본·독일·영국·프랑스)와 한국 등 주요국 상장사 한계기업 추이 분석 결과를 이같이 밝혔다. 지난해 3분기 한국 한계기업 비중은 19.5%로, 미국(25.0%)에 이어 두 번째로 높다.
한국 한계기업은 2016년 7.2%에서 2024년 3분기 19.5로 12.3%포인트(p) 증가했다. 미국은 같은 기간 9.2%에서 25.0%로 15.8%p 증가했다. 같은 기간 영국은 6.7%→13.6%, 프랑스는 14.0%→19.4%, 일본은 1.7%→4.0%, 독일은 17.1%→18.7% 늘었다.
한경협은 한국 한계기업이 주요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빠르게 증가한 배경으로 경기 부진 장기화에 따른 판매 부진·재고 증가를 꼽았다. 기업 수익성이 크게 악화하면서 한계기업 비중이 빠르게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한국의 일시적 한계기업(당해 연도 이자보상배율이 1 미만 기업) 비중은 2023년 말 전년 대비 5.7%p를 상승한 이후 2년 연속 30% 후반대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3분기 일시적 한계기업 비중은 36.4%를 기록했다. 전년 말 대비 0.5%p 하락한 수치다.
지난해 3분기 코스닥 한계기업 비중은 23.7%로 코스피 10.9%에 비해 12.8%p 높았다. 코스피는 2016년부터 지난해 3분기까지 2.5%p 증가했지만, 코스닥은 같은 기간 17.1%p 증가했다. 경기부진 장기화에 따른 타격을 중소기업이 크게 받는 셈이다.
지난해 3분기 기준 업종별 분석은 △부동산업(33.3%)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24.7%) △도매 및 소매업(24.6%) △정보통신업(24.2%) 순으로 한계기업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반면 금융 및 보험업 등은 0%를 기록했다.
주요 업종 중 2016년 대비 지난해 3분기 한계기업 비중이 크게 오른 업종은 △전문·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20.7%p) △정보통신업(19.7%p) △제조업(10.7%p) △도매 및 소매업(9.6%p) 등으로 파악됐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최근 국내기업이 극심한 내수 부진과 트럼프 2기에 따른 수출 불확실성으로 경영 압박이 크게 가중되는 상황"이라며 "난관을 극복하고 미래 글로벌 경쟁력을 선점하도록 제도적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bell@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