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세종=박병립 기자] 산업통상자원부가 지난해 약 2200억원의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산업부에 따르면 산업부는 작년 54개 지방투자기업에 2244억원을 투입해 총 2조4783억원의 민간 투자와 3000여개의 지방 일자리 창출을 유도했다.
△반도체, 이차전지, 바이오, 디스플레이 등 국가첨단전략산업 분야 24개 기업에 국비 1017억원, △전기차를 포함한 자동차 분야 13개 기업에 국비 453억원을 지원해 주력산업 경쟁력을 강화했다.
산업부는 올해도 지방투자촉진보조금을 통해 지방투자 활성화를 도모한다. 이를 위해 '지방자치단체의 지방투자기업 유치에 대한 국가의 재정자금 지원기준'을 개정해 다음달 1일부터 본격 시행한다.
특히 지속적인 대규모 민간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지방투자보조금 사업별(건별) 한도를 기존 100억원에서 150억원으로 확대한다.
기회발전특구 중심의 신규 프로젝트 유치를 위해 기회발전특구에 투자하는 중견·중소기업에 대한 보조금 지원비율 가산율을 기존 5%포인트(p)에서 각각 8%p, 10%p로 상향한다.
또 급변하는 글로벌 산업환경에 대응하고 핵심 산업의 공급망 안정을 지원하기 위해 공급망안정화 지원 기본법에 따른 경제안보품목·서비스 생산설비에 투자하는 선도사업자에게 설비보조금 지원비율을 2%p 가산하고, 장기 미분양 산업단지 투자기업에 대한 설비보조금 지원비율도 2%p 가산한다.
산업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한국산업단지공단과 함께 지자체·기업 등 수요자 중심의 지방투자촉진보조금 제도가 운영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노력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riby@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