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분양가, 매매시세 추월…서울은 평당 520만원 비싸
  • 공미나 기자
  • 입력: 2025.01.24 10:12 / 수정: 2025.01.24 10:12
2009년 이후 15년만…"앞으로 더 오를 것"
정국 평당 아파트 분양가가 15년 만에 매매시세를 역전했다. /부동산R114
정국 평당 아파트 분양가가 15년 만에 매매시세를 역전했다. /부동산R114

[더팩트 | 공미나 기자] 전국 3.3㎡(평) 당 아파트 분양가가 2009년 이후 15년 만에 매매시세를 역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도 건축비와 물류비, 인건비 등 원가 증가분의 반영으로 분양가 상승 기조가 이어질 전망이다.

24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2024년 기준 전국과 서울에서의 3.3㎡ 당 평균 아파트 분양가는 각각 2063만원과 4820만원을 나타낸 반면, 평균 아파트 매매시세는 전국 1918만원, 서울 4300만원으로 조사됐다.

시세와 비교해 전국 분양가 평당 가격은 145만원, 서울은 520만원 비싼 수준이다. 국민평형인 전용면적 85㎡(33평) 기준으로 시세 대비 비교할 경우 분양가 수준이 전국은 5000만원, 서울은 1.7억원가량 높다는 의미다.

평균 분양가격이 평균 매매시세를 역전한 것은 2009년 이후 15년 만이다. 특히 17개 시도에서 모두 역전이 일어난 가운데 개별 지역 중 서울의 분양가 매매시세 추월은 2018년 이후 6년 만이다.

2023년 1.3대책을 통해 서울 강남3구와 용산구를 제외한 규제지역이 대부분 해제되면서 민간택지에 대한 분양가도 사실상 자율화됐다. 특히 코로나 펜데믹 이후 본격화된 금리인상과 PF(프로젝트파이낸싱) 부실 여파에 따른 조달금리 증가와 급등한 건자재 가격, 인건비, 물류비 등이 반영되기 시작하면서 분양가 수준도 급격하게 오르기 시작했다.

서울 지역을 기준으로 추세를 살펴보면 2018년에는 분양가가 시세 대비 3.3㎡ 당 50만원정도 비쌌던 반면, 분양가 규제가 심화됐던 2019년 이후에는 분양가가 시세 대비 440만원 더 싸졌다.

이후의 편차(분양가-시세)는 △2020년(-1012만원) △2021년(-1455만원) △2022년(-643만원) △2023년(-504만원) 등으로 2021년 이후 꾸준히 편차를 좁히다가 2024년에는 2018년 이후 6년 만에 역전됐다.

매매시세와 비교했을 때 전국 분양가 평당 가격은 145만원, 서울은 520만원 비싼 수준이다. /부동산R114
매매시세와 비교했을 때 전국 분양가 평당 가격은 145만원, 서울은 520만원 비싼 수준이다. /부동산R114

앞으로도 분양가가 떨어질 가능성은 낮다. 부동산R114는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공공택지조차 작년 3월과 9월 기본형건축비 정기 고시에서 각각 3.1%, 3.3% 인상에 나서는 등 매년 큰 폭의 인상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최근 정치 혼란에 따른 환율 급등(원화가치 하락)에 따라 해외에서 수입하는 건축자재와 물류비 등도 상승 중인 만큼 2024년에도 전국 및 17개 시도 민간택지에서의 분양가 상승흐름은 계속될 전망"이라고 내다봤다.

mnmn@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