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세종=정다운 기자] 정부가 인간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인공지능(AI) 기술개발에 속도를 낸다. 이를 위해 인공지능(AI) 반도체 육성,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 등 정부가 산업 AI 확산을 위한 핵심 과제를 선정했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서울 중구 롯데호텔에서 ‘제3차 AI산업정책위원회’를 개최하고 산업 AI 확산을 위한 10대 과제를 발표했다고 22일 밝혔다.
10대 과제는 민간 제언과 전문가 논의를 거쳐 성공모델, 필수요소, 인프라 등 3대 분야 총 30개의 세부과제로 구성됐다.
먼저 산업부는 AI 성공모델 확산을 위해 자율제조 분야 선도 프로젝트를 올해 60개, 2027년까지 200개를 선정하기로 했다. AI 적용 과정에서의 경험을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는 인벤토리도 구축한다.
자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해 인간의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AI 에이전트 개발에 속도를 내고, 확장성이 높은 범용 휴머노이드 로봇 개발·양산을 본격화한다.
기업 수요를 반영해 주요 권역별로 AI 컴퓨팅센터를 구축하고, 영업비밀 유출 우려가 적은 산업데이터 은행 제도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로 인해 데이터를 가치 있는 정보로 가공해 판매하는 데이터 큐레이션 산업이 육성될 전망이다.
AI 반도체 생태계 경쟁력 강화를 위해 반도체 생태계 펀드, 산업은행 저리대출 등의 정책 금융을 지원한다. 설계지원센터·개발지원센터를 활용해 설계부터 검증·상용화에 이르는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다.
산업 분야별 전문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AI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융합 전공트랙 과정을 확대한다. 노하우 전수를 위해 현장 마이스터(장인)의 작업정보 데이터화도 추진하기로 했다.
안정적인 AI 인프라를 갖추기 위해 AI 전력수요를 반영한 전력공급계획을 수립한다는 구상이다.
AI 데이터센터 전용단지 조성 등 산업 AI에 친화적인 전력 시스템을 구축하고, 액침 냉각 기술개발·실증 등을 추진한다.
적극적인 AI 투자 촉진을 위해 기금을 조성하고 기업주도형 벤처캐피털(CVC), 사내벤처 활성화, AI 기술 가치평가 등 민간 자본도 적극 유치할 계획이다.
산업 AI의 발전을 위해 투자자-창업자-연구진 간 AI 활용경험을 공유하는 ‘한국형 슬러시’를 기획하고, AI 확산에 친화적인 법령·제도·거버넌스를 정비하기로 했다.
산업부는 과제별 추진 계획을 구체화한 뒤 관계부처와 협의해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이날 전문가 분과위원회는 기술동향, 미래산업, 표준, 정책제언 등 4개 분과별 논의를 정리한 AI 시대 산업정책 제언을 발표했다.
안덕근 장관은 "인구감소, 경쟁국의 기술 추격 등 우리 산업은 대내외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AI 활용은 신산업을 창조하는 기회의 창"이라고 말했다. 이어 "오늘 발표된 제언과 정책과제들이 현장에서 실행될 수 있도록 예산확보, 법·제도 개선 등 구체적 정책으로 만들어 이행해 나가겠다"고 덧붙였다.
행사에는 안 장관을 비롯해 윤의준 한국공학한림원 회장, AI산업정책위원, 전문가, 관련 기업 관계자 등 약 130명이 참석했다.
danjung638@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