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세종=박은평 기자] 농촌진흥청은 겨울철 한파에 대응해 온실 난방비와 탄소 배출량을 줄일 수 있는 '에어로겔 다겹보온커튼'을 농가에 시범 보급해 실용화에 나선다고 22일 밝혔다.
비닐온실은 겨울철 난방비가 경영비의 20∼30%를 차지해 농가 부담이 크다.
대부분의 시설재배 농가는 화학솜과 폴리에틸렌(PE) 폼 소재로 된 다섯 겹의 보온커튼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화학솜은 습기를 흡수하면 보온력이 떨어지고, 아침에 커튼을 걷을 때 솜이 머금고 있던 찬 물방울이 작물에 떨어져 스트레스를 유발해 생장이 멈추는 '순멎이현상'을 일으킨다.
이에 농촌진흥청은 2018년 고성능 신소재인 에어로겔을 활용한 다겹보온커튼을 개발했다.
에어로겔은 나노 크기의 다공성 구조를 가진 물질로 매우 가볍고 단열성이 우수해 방위산업, 항공 분야 등에서 사용되고 있다.
에어로겔 다겹보온커튼을 적용했을 때 똑같이 다섯 겹인 기존 보온커튼보다 난방비가 15~20% 절감됐다. 두께가 얇아 그늘도 덜 발생했다.
농촌진흥청은 2020년 특허를 등록하고 기업체에 기술이전 해 실용화 기반을 마련했다. 2022년까지 신기술보급사업으로 전국 57개 농가에 에어로겔 다겹보온커튼을 보급했다.
신기술보급사업 참여 농가 중 에어로겔 다겹보온커튼을 설치한 양평(1743㎡)과 익산(2125㎡)의 딸기 농가는 기존 다겹보온커튼을 사용했을 때보다 연간 400만원가량의 난방비를 절감했다. 과습 환경이 개선돼 딸기 상품성도 크게 좋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진흥청은 올해 농림축산식품부 지원사업에 에어로겔 다겹보온커튼이 포함되도록 하고, 수명이 다한 기존 보온커튼을 교체할 농가들에 적극적으로 홍보할 계획이다.
이승돈 국립농업과학원장은 "에어로겔 다겹보온커튼이 농가의 난방비 부담을 줄이고 생산성을 높이는 데 크게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 가능한 농업을 위해 다양한 신소재를 이용한 농업용 보온자재를 개발해 보급하겠다"고 밝혔다.
pepe@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