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ㅣ이선영 기자] 지난해 12·3 비상계엄 사태 당일 발생한 가상자산거래소 전산장애와 관련해 업비트와 빗썸 등 거래소가 투자자들에게 총 35억원을 배상하게 됐다.
22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김현정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과 가상자산거래소 5곳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업비트는 계엄일 전산장애 596건에 대해 31억4459만8156원을 배상하기로 했다. 빗썸도 같은 날 전산장애 124건에 대해 3억7753만3687원을 배상한다.
앞서 지난해 12월3일 윤석열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할 당시, 국내 거래소에서 비트코인 가격은 1억3000만원에서 8800만원까지 급락했다. 각 거래소에 이용자 접속량이 급증하면서 접속과 매매 거래가 이뤄지지 않았고 업비트에서는 일부 가상자산 출금과 원화 입금이 취소되는 등 장애가 발생했다.
업비트의 평소 동시 접속자 수는 10만명으로, 비상계엄 이후 동시 접속자 수는 110만명 이상이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빗썸과 코인원에도 각각 50만명 이상의 접속자가 몰렸다. 이에 따라 업비트에서는 99분, 빗썸에서는 62분, 코인원에서는 40분 동안 전산장애가 일어났다.
현재 업비트와 빗썸은 투자자와 배상 협의를 마무리 중인 단계다. 협의가 완료되면 배상액은 소폭 늘어날 수 있다. 코인원, 코빗, 고팍스 등은 해당 사항이 없었다.
이번 배상 금액은 가상자산거래소 전산장애와 관련 역다 최다 배상 금액이다. 가상자산거래소 1위 업비트는 2022년 전산장애 50건에 대해 1147만1876원을 보상한 바 있다. 빗썸은 2023년 29명에게 9495만915원을 보상했다.
금융당국은 거래소 전산장애와 관련해 지난달에 이어 지난 20일부터 다시 현장점검에 나섰다. 금융감독원은 계엄 사태 이후 거래소들로부터 서버 증설, 클라우드 전환, 비상대응계획(BCP) 개선 등 향후 대책을 보고 받았다. 이번 추가 현장점검은 이러한 대책이 잘 이행 중인지 살펴보기 위해 진행했다.
김 의원은 "가상자산 투자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여전히 투자자 보호를 위한 제도적 기반이 부족한 실정"이라며 "금융당국과 거래소는 전산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서버 증설과 비상대응계획 개선 등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대책을 마련해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가상자산 생태계를 조성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