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률 ‘청신호’…반면 청년 체감온도 ‘적신호’
  • 정다운 기자
  • 입력: 2025.01.16 14:02 / 수정: 2025.01.16 14:02
고용부, ‘2024년 고용동향 설명회’ 개최
기업 수시채용 확대·일자리 미스매치 등 영향
고용노동부는 16일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 관련 설명회를 열고 쉬었음 청년 등에 대한 분석을 내놓았다. 사진은 15일 서울의 한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구직자가 일자리정보를 확인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고용노동부는 16일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 관련 설명회를 열고 '쉬었음' 청년 등에 대한 분석을 내놓았다. 사진은 15일 서울의 한 고용복지플러스센터에서 구직자가 일자리정보를 확인하고 있는 모습. / 뉴시스

[더팩트ㅣ세종=정다운 기자] 최근 고용률이 양호한 흐름을 기록하고 있지만, 청년들이 체감하고 있는 고용 상황은 여전히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수시채용 확대, 일자리 미스매치(불일치) 등의 문제가 원인으로 꼽힌다.

고용노동부는 통계청이 최근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과 관련 16일 설명회 열었다.

지난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4년 12월 및 연간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연간 취업자 수는 2857만6000명으로 전년보다 15만9000명(0.6%) 늘었다.

최근 고용지표는 양호한 흐름을 띠고 있지만, 코로나19 이후 매년 취업자 수 증가 폭이 감소하고 있다. 세부적으로 보면 △2021년 36만9000명 △2022년 81만6000명 △2023년 32만7000명이다.

이정한 고용부 고용정책실장은 "작년은 양적 지표로 보면 고용률이 좋았지만, 취업자 수 증가 폭은 조정을 받는 모습"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기업 취업을 희망하는 청년 비율은 늘고 대기업 등이 수시채용으로 바뀌면서 과거보다 취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덧붙였다.

고용부에 따르면 ‘쉬었음’ 청년(15~29세)은 2021년 이후 40만명대를 유지하고 있다. 쉬는 이유는 원하는 일자리를 찾기 어려워서(32.5%), 다음 일 준비를 위해(23.9%) 등의 순으로 집계됐다.

원하는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청년이 늘자, 졸업 후 첫 취업까지는 걸리는 기간도 평균 11.5개월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실장은 "취업했다가 1년 만에 '쉬었음' 상태로 돌아온 경우가 43.5% 정도 된다"며 "취업이 어려우니까 아예 비경제활동인구로 머무는 청년도 일정 부분 있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전직이 활발한데 다음 일자리로 넘어가는 상황에서 ‘쉬었음’으로 유입되는 청년 비율도 혼재돼 있다"며 "이런 부분을 고려하면서 정책을 가져가야 한다"고 밝혔다.

고용부는 고졸 이하 ‘쉬었음’ 인구가 대졸자보다 많은 문제도 고심 중이다.

이 실장은 "고졸 이하 '쉬었음'이 대졸자보다 지표가 높게 나오고 있어 올해는 고졸 청년에 관한 관심도 가져야 하는 거 아니냐는 생각을 하고 있다"며 "취업 준비 기간이 상대적으로 길다 보니 청년층이 느끼는 체감 고용 상황이 더 어려운 것 아닌가 싶다"고 말했다.
danjung638@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 이메일: jebo@tf.co.kr
· 뉴스 홈페이지: https://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