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사팀 23명 구성…블랙박스 분석 등
6개 항공사 101대 점검…엔진·랜딩기어 집중 검사
주종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은 3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에서 "2일부터 8일까지 활주로 주변 항행안전시설 설치 위치와 재질 등을 점검하는 특별점검을 전국 공항에서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발생 이틀째인 지난해 12월 30일 오후 전남 무안국제공항 사고 현장을 방문한 유가족들이 오열하고 있다. /무안=장윤석 기자 |
[더팩트ㅣ황지향 기자] 국토교통부가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 피해를 키운 원인으로 지목된 무안공항 활주로 끝의 콘크리트 둔덕과 유사한 시설물에 대해 전국 공항을 대상으로 특별점검에 나섰다.
주종완 국토교통부 항공정책실장은 3일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중앙사고수습본부 브리핑에서 "2일부터 8일까지 활주로 주변 항행안전시설 설치 위치와 재질 등을 점검하는 특별점검을 전국 공항에서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문제의 둔덕은 높이 2미터, 내부에 19개의 콘크리트 기둥이 촘촘히 배치된 구조로 상부에는 항공기 착륙 시 활주로 중심선을 정렬하도록 돕는 방위각 시설(로컬라이저)이 설치돼 있다.
지난해 개량사업으로 둔덕 상부에 길이 40미터, 폭 4.4미터, 두께 30센티미터의 콘크리트 상판을 추가 설치하면서 둔덕의 강도가 크게 강화됐다. 사고기 동체가 이 둔덕과 충돌하면서 피해가 극대화됐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주 실장은 "여수공항과 청주공항 등 일부 공항에서도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의 방위각 시설이 있다며" "2일부터 8일까지 활주로 주변 항행안전시설의 설치 위치 및 재질 등에 관한 특별점검을 전국 공항에서 실시 중"이라고 말했다.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를 조사 중인 한미 합동조사팀에는 최근 엔진 제작사 제너럴일렉트릭(GE) 관계자가 합류해 조사 인원이 확대됐다. 주 실장은 "한미 합동조사팀이 공항 내 임시본부를 마련하고 현장조사 중"이라며 "엔진 제작사 관계자 1명이 추가로 합류했다"고 설명했다.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착륙 중이던 방콕발 제주항공 여객기가 활주로를 이탈해 울타리 외벽과 충돌사고가 발생해 다수의 사망자가 발생한 가운데, 지난해 12월 30일 오전 사고 현장에서 소방대원이 탑승객들의 가방과 캐리어를 수색하고 있다. /무안=장윤석 기자 |
현재 한미 합동조사팀에는 항공철도사고조사위원회(사조위) 12명 외에 미국 연방항공청(FAA), 교통안전위원회(NTSB), 항공기 제작사 보잉(Boeing) 등 조사팀 11명이 포함돼 있다. 조사팀은 사고 현장에서 회수된 블랙박스 중 손상된 비행기록장치(FDR)를 미국 NTSB로 이송해 분석할 예정이다. FDR은 사조위 조사관 2명이 1월 6일 출발해 자료를 추출할 계획이다.
국토부는 사고를 계기로 보잉 737-800 기종을 운영 중인 6개 항공사에 대한 특별안전점검을 오는 10일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점검 대상은 제주항공(39대), 티웨이항공(27대), 진에어(19대), 이스타항공(10대), 에어인천(4대), 대한항공(2대) 등 총 101대다.
이번 점검에서는 엔진과 랜딩기어 등 주요 계통의 정비 이력과 운항 및 정비 기록 실태를 중점적으로 검토한다. 주 실장은 "오전 10시 11개 항공사 CEO가 참석하는 영상회의를 열고 철저한 안전관리를 지시했다"고 말했다.
사조위는 이날 무안국제공항에서 유가족들에게 사고조사 상황을 처음으로 보고했다. 현재 조사는 12단계 중 4단계인 정보·자료 수집 단계며 조종사 훈련 기록과 사고기 정비 이력 분석, 관제사 인터뷰 및 사고현장 드론 촬영을 완료한 상태다.
사조위는 이번 사고를 "최우선 조사과제로 삼아 철저한 조사를 진행 중"이라며 "조사 보고서 초안을 작성하기 위해 수집된 정보를 바탕으로 검사와 분석을 이어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이어 "유족과 국민들의 알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공청회 등을 통해 조사 과정을 투명하게 공유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hyang@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