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자동차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尹 탄핵'에 파업 면했지만…완성차, '한숨'은 여전
입력: 2024.12.17 15:10 / 수정: 2024.12.17 15:10

파업 리스크 일시적 해소…내수 부진·트럼프 취임 등 변수

1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기아, 한국GM 등이 소속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금속노동조합(금속노조)은 윤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며 이어온 파업을 중단한다. 완성차 업계는 노동조합 파업 리스크에 다소 숨통이 트인 모양새다. /남용희 기자
1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기아, 한국GM 등이 소속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금속노동조합(금속노조)은 윤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며 이어온 파업을 중단한다. 완성차 업계는 노동조합 파업 리스크에 다소 숨통이 트인 모양새다. /남용희 기자

[더팩트ㅣ황지향 기자]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 가결'로 완성차 업계는 파업 리스크에 다소 숨통이 트였다. 다만 헌법재판소 판결이 나올 때까지 탄핵 정국이 지속되는 가운데 내수 침체,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의 미국 대통령 취임 등 국내외 변수들이 맞물리며 업계는 여전히 불확실성에 한숨을 쉬는 모양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현대자동차·기아, 제너럴모터스 한국사업장(한국GM) 노조 등이 소속된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전국금속노동조합(금속노조)은 윤 대통령 퇴진을 요구하며 이어온 파업을 중단한다.

앞서 현대차 노조는 지난 5일과 6일에 오전·오후 근무조 각각 2시간씩 부분 파업을 했다. 한국GM 노조도 같은 날 전·후반조 2시간씩 파업했다. 기아는 지난 11일 부분파업을 진행하며 퇴진을 촉구했다. 부분파업으로 현대차는 약 5000대, 한국GM은 1000여대의 차량 생산에 차질을 빚은 것으로 알려졌다.

금속노조 관계자는 "윤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로 당분간 파업은 중단한다"며 "이제는 헌법재판소의 판단 과정에 집중하며 노동자들의 요구를 논의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금속노조 중앙집행위원회는 오는 19일 회의를 열고 향후 계획을 논의할 예정이다.

파업 리스크가 줄어든 완성차 업계는 최악의 상황을 면하게 됐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일정 부분 해소되면서 생산 차질 부담이 줄고 내수 및 수출 여건도 안정화될 것이란 기대감도 나온다.

16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 윤석열 대통령을 응원하는 화환과 조롱·비하하는 화환이 줄지어 있다. /남윤호 기자
16일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앞에 윤석열 대통령을 응원하는 화환과 조롱·비하하는 화환이 줄지어 있다. /남윤호 기자

그러나 헌재의 탄핵심판절차가 수개월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면서 완성차 업계의 긴장감은 여전히 가시지 않고 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장기화될 경우 소비 심리 위축과 산업 정책의 추진 동력 약화로 이어질 수 있어 업계는 상황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특히 국내 시장에서는 이미 지속되고 있는 내수 부진이 장기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달 국내 주요 완성차 업체들의 실적은 이를 그대로 반영했다. 현대차·기아, 한국GM, 르노코리아, KG모빌리티 등 5개 완성차 업체의 합산 내수 판매량은 12만3616대로 전년 동기 대비 6.6% 감소했다. 소비 심리 위축과 경기 둔화, 차량 가격 인상 등이 겹치면서 내수 시장 전반이 위축된 것이다.

르노코리아는 최근 출시한 '뉴 그랑 콜레오스'의 판매 호조로 반등에 성공하며 그나마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다. 그러나 이는 개별 모델의 특수한 영향에 불과해 시장 전체의 분위기를 반전시키기에는 역부족이란 지적이다.

트럼프 당선인의 취임으로 전기차 산업에도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트럼프 당선인은 과거 재임 시절부터 화석연료 중심의 에너지 정책을 강하게 추진해 왔으며 최근에는 전기차 보급 확대에 핵심 역할을 해온 '인플레이션감축법(IRA)' 폐지를 시사한 바 있다.

IRA는 미국 내에서 전기차를 생산하고 일정 요건을 충족한 기업에 최대 7500달러의 세액공제 혜택을 제공하는 정책이다. 이 법은 바이든 행정부의 친환경 정책 기조에 따라 글로벌 자동차 업계가 미국 내 생산시설 확충과 배터리 공급망 구축에 적극 나서게 된 배경이기도 하다.

하지만 트럼프 당선인이 이를 폐지할 경우 전기차 시장의 성장 둔화는 물론 미국 시장을 중심으로 전략을 세웠던 국내 완성차 업계의 수익성에도 큰 타격이 예상돼 불확실성은 여전하다.

업계 관계자는 "파업 리스크가 일시적으로 줄어들었지만, 국내외 불확실성은 여전히 크다"며 "헌법재판소의 탄핵 심판과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라 산업계의 경영 환경은 언제든 변할 수 있다"고 말했다.

hyang@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