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코(주4회→주7회)·우즈벡(주10회→주12회)로 증편
인천-구이린(계림) 주7회 운항 등 국제선 확대
인천공항 제2터미널 출국장에서 여객들이 분주히 출국 준비를 하고 있다./인천공항공사 |
[더팩트 | 김태환 기자] 국토교통부는 항공교통심의위원회에서 15개 노선의 운수권을 8개 국적 항공사에 배분했다고 28일 밝혔다.
국토부는 우선 △한국~체코 △인천~타슈켄트(우즈베키스탄) △인천~구이린(중국) 등 경합노선 3개와 △한~그리스 △서울~유럽 북구3국 △한~마닐라 △한~카자흐스탄 등 비경합노선 12개를 배분했다.
국토부는 이번 배분으로 약 26년 만에 체코 직항이 주7회로 증편되고, 중국 계림 노선도 재개된다고 설명했다. 또 중앙아시아와 유럽 등 다양한 지역으로의 하늘길이 넓어질 것으로 기대된다고 덧붙였다.
한편, 복수의 항공사가 신청해 항공사 간 경합이 발생한 3개 노선의 경우 '운수권배분규칙' 및 항공교통심의위원회 심의를 통해 결정됐다.
먼저 지난 7월 원전 협력·체코 공식방문을 계기로 개최된 체코와의 항공회담에서 26년만에 주4회에서 주7회로 운수권이 증대된 '한~체코 노선'은 그간 대한항공이 주4회 단독 운항 중이었으나, 아시아나항공에 증대된 주3회가 배분됐다.
우즈베키스탄 노선은 지난 9월 항공회담으로 인천~타슈켄트 노선을 주2회 증대(주10회→주12회)했고, 이번 심의위원회에서 제주항공과 티웨이항공이 각각 주1회씩 배분받았다. 이로써 두 항공사는 상반기 각 3회씩 배분받은 것에 더해 주4회씩 보유하게 됐으며 내년 중 취항을 목표로 한다.
인천~구이린(계림) 노선은 제주항공 주4회, 진에어 주3회 등 저비용항공사(LCC) 2개 항공사가 신규 진입해 주7회 운항한다.
이외에도 1개 항공사만 신청한 비경합노선 중 그간 항공사의 진입이 없어 정부가 장기 보유 중이던 그리스, 유럽 북구 3국(덴마크·스웨덴·노르웨이)이 이번 위원회를 통해 배분돼 다양한 유럽 신규 네트워크 확장에 대한 기반을 마련했다.
이와 더불어, 지난 7월 국내 지방공항과 마닐라 직항 자유화와 함께 대폭 증대된 인천~마닐라 운수권도 대한항공·이스타·에어서울 등 대형항공사와 LCC 모두에게 배분됐다. 이로써 여행 수요와 상용수요를 다양하게 반영하기 위한 증편 기반을 마련하며 동남아-미국 환승축 네트워크를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국토부 측은 설명했다.
kimthin@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