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즈팩트

  • HOME >NEWS >경제 >금융&증권 >증권 >증시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글자크게
    • 글자작게
    • 인쇄하기
    기사제보
뉴욕증시, S&P500·나스닥 최대치 경신…엔비디아 3.5% 오르며 '시총1위'
입력: 2024.06.19 08:02 / 수정: 2024.06.19 08:02

다우 0.15%·S&P500 0.25%·나스닥 0.03%↑

뉴욕증시가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한 AI 반도체 기대감에 일제히 상승했다. /AP.뉴시스
뉴욕증시가 엔비디아를 중심으로 한 AI 반도체 기대감에 일제히 상승했다. /AP.뉴시스

[더팩트|최문정 기자] 인공지능(AI) 반도체 대표 기업인 엔비디아가 마이크로소프트(MS)를 제치고 세계 시가총액 1위 자리에 등극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와 나스닥지수 역시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1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15%(56.76포인트)오른 3만8834.86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지수는 0.25%(13.80포인트) 오른 5487.03, 나스닥지수는 0.03%(5.21포인트) 오른 1786.23으로 각각 장을 마감했다. S&P500지수와 나스닥지수 모두 역대 최고치를 찍었다. 기술주 중심으로 편성된 나스닥지수는 7거래일 연속 오름세다.

S&P500 지수 11개 업종별로 살펴보면, △필수소비재 0.09% △에너지 0.46% △금융 0.64% △헬스케어 0.12% △산업 0.55% △부동산 0.36% △기술 0.61% △유틸리티 0.02% 등이 상승 마감했다.

이날 투자자들은 AI와 AI 반도체 시장의 성장성에 집중했다.

AI 반도체 대장주인 엔비디아는 3.5% 급등했다. 엔비디아의 주가는 장중 한때 136.33달러까지 올랐다. 시총 역시 3조3350억달러를 넘기며 MS를 제치고 세계 시총 1위에 올랐다.

엔비디아를 제외한 '매그니피센트7'으로 불리는 빅테크 기업들은 고전했다. 애플과 알파벳A, 메타플랫폼스(페이스북 모기업)은 1%대 하락했다. 아마존은 0.6%, 테슬라는 1.3%씩 각각 내렸다. MS도 0.4% 하락 마감했다.

AI 반도체 관련주는 엔비디아와 함께 강세를 보였다. 퀄컴은 2%대, TSMC는 1%대 상승에 성공했고, 마이크론 테크놀로지는 3% 이상 뛰었다.

한편, 최근 미국의 5월 소비 판매가 부진하게 나오면서, 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한 기대가 강해지고 있다.

CME그룹의 페드와치툴에 따르면 오는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기준금리가 25bp 인하될 확률은 61.1%를 기록했다. 동결 확률은 32.3%를 나타냈다. 올해 12월 2회째 금리인하가 이뤄질 가능성도 45.9%로 반영됐다.

munn09@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 BIZ & GIRL

    • 이전
    • 다음
 
  • TOP NEWS

 
 
  • HOT NE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