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 ㅣ박희준 기자] 미국 뉴욕주식 시장의 3대 지수는 1월 고용 지표 호조에 따른 미국 중앙은행의 긴축 가능성이 높아졌음에도 아마존 주가 급등에 따른 대형주들의 선전으로 혼조세로 마감했다.
4일(현지시각)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우량주 중심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날에 비해 0.06%(21.42포인트) 하락한 3만5089.74로 장을 마쳤다. 반면, 대형주 중심의 스탠더드앤푸어스(S&P)500지수는 0.52%(23.09포인트) 상승한 4500.53을 기록했다.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1.58%(219.19포인트) 뛴 1만4098.01을 기록했다. 나스닥 지수는 하루 전에는 메타플랫폼 급락 충격에 3.7% 하락했다.
주간 기준으로는 다우지수는 1.1% 상승했고 S&P 500지수는 1.5%,나스닥지수는 2.4% 오르면서 3대 지수는 2주 연속으로 상승했다. 주요 지수는 금리인상에 따른 긴축우려에 지난달 최악의 한 달을 보낸 이후 지난주 최상의 한 주를 마감했다.
업종별로는 S&P 500 지수 구성 11개 업종 중 재량 소비재(3.74%), 에너지(1.58%), 금융(1.66%), 기술(0.47%), 통신(0.44%) 등 5개 업종 관련주는 올랐고 소재(-1.72%),부동산(-1.27%), 필수소비재(-1.2%) 등 6개 업종은 내렸다.
종목별로는 전날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한 아마존의 주가가 실적 호조와 아마존 프라임 가격 인상 소식에 13.54% 올랐다. 아마존 주가의 이날 상승폭은 2015년 이후 가장 컸다.아마존은 전날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이 클라우드 매출 증가 덕분에 전년 동기 대비 9% 늘어난 1374억 달러,순익은 주당 5.80달러, 전기차 리비안 지분 가치가 거의 120억 달러 증가했다고 발표했다.
또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종목인 핀터레스트와 스냅의 주가도 실적이 예상치를 웃돌았다는 소식에 각각 11.2%, 58.8% 급등하고 트위터도 7.13% 상승하면서 금리인상 우려가 기술주 종목에 드리운 짙은 암운을 떨쳐버렸다. 전기차 업체 테슬라는 3.6% 이상 상승했다. 애플은 0.17% 내렸고 메타플랫폼은 0.28% 하락했지만 구글 모기업은 알파벳은 0.14% 올랐다.
서부텍사스산원유가 배럴당 90달러 이상을 기록한 데 힘입어 석유메이저 엑슨모빌의 주가도 2.17% 상승 마감했다.
클로록스는 인플레이션으로 마진이 타격을 입을 것이라는 회사측 발표에 14.47% 폭락했고 포드자동차는 순익이 예상치를 밑돌았다는 소식에 9.7% 하락했다. 포드의 지난해 4분기 매출액은 전년 동기 대비 5% 증가한 377억 달러를 기록했으나 순이익은 24% 빠진 주당 26센트에 그쳤다. 월가 예상치는 매출액은 15% 증가한 412억 3000 만달러, 주당 순이익은 32% 증가한 45센트였는데 실제 실적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다우지수 구성 종목 가운데서는 세일즈포스(3.04%)와 골드만삭스그룹(2.43%),마이크로소프트(1.52%), 월트디즈니(1.42%), 석유메이저 셰브런(1.25%) 등이 상승했다. 반면, 월마트(-1.18%), 비자(-1.36%),P&G(-1.59%), 홈데포(-1.41%), 코카콜라(-1.05%)등은 내렸다.
투자자들은 이날 예상보다 좋게 나온 고용보고서가 미국 경제정책에 줄 영향을 예의주시했다. 고용증가로 국채금리가 급등하면서 고밸류에이션 주식에 하락압력을 가했지만 이날은 기업들의 실적 호조에 주가는 금리 영향을 크게 받지 않았다.
이날 발표된 1월 비농업 부문 고용자 수는 46만7000명 증가해 다우존스가 조사한 전문가 예상치 15만 명 증가를 크게 웃돌았다. 실업률은 4.0%로 전달과 같았고 시장의 예상치인 3.9%를 웃돌았다. 오미크론 변이의 영향에도 고용이 감소세로 돌아서지 않고 예상치를 크게 웃돈 것이다.
특히 12월 고용이 당초 19만9000명 증가에서 51만 명 증가로, 11월 고용은 24만9000명 증가에서 64만7000명 증가로 수정됐다. 2개월간 70만9000명 상향 수정돼 고용이 탄탄한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이 확인됐다. 시간당 임금도 예상보다 높은 5.7%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고용이 크게 증가함에 따라 미국 중앙은행 격인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인상 가능성이 한층 더 높아진 영향으로 미국의 10년물 국채금리는 1.93% 수준까지 올랐다. 이는 2020년 1월 이후 최고치다. 금리 상승은 고밸류에이션 주식인 기술주에는 주가 하락 압력으로 작용한다. 이날은 기업들의 실적에 기술주들이 반등하면서 금리 영향은 제한됐다.
jacklondon@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