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카피알의 조사결과 중고차 시장에서 차량의 교체주기가 점점 빨라지고 있다.
[더팩트|황준성 기자] 패션, 가전제품 못지않게 빠르게 신구교체를 하는 분야가 자동차 시장이다. 신제품이 나오면 구형모델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은 일반적인 사실이지만, 자동차처럼 비싼 제품은 해마다 달라지는 시세에 더욱 예민할 수밖에 없다. 이에 차량 교체 주기도 중고차 시세 가치가 높을 시점인 3년 미만, 혹은 5만km 이내로 점점 짧아지고 있는 추세다.
중고차 전문 사이트 카피알이 최근 1년간의 사이트 내 중고차 판매 상담 문의가 들어오는 차량들의 연식을 분석한 결과, 상담 차량의 43% 가량이 3년 이내 신차급 상태의 중고차 시세를 문의하는 경우였다.
실제 판매와 직결되지 않더라도 상당히 짧은 기간 안에 중고차 재판매 및 시세 상담을 받고 싶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사이트 판매 등록된 국산, 수입 중고차들의 연식 중 40% 가량은 2009~2012년식 차량들이다.
짧은 연식의 차량들 대부분은 주행거리가 짧을 수밖에 없다. 실제 카피알 사이트에 등록된 차량들의 45%가량이 주행거리 5만km 이내의 차량들이었다. 이는 중고차 구입을 희망하는 소비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중고차 주행거리와 일치한다.
중고차 관계자들은 소비자들의 빠른 차량 교체 주기 변화의 가장 큰 원인으로, 최근 쏟아지고 있는 신차 출시를 꼽았다. 실제 매년 최고 4~5개 이상의 국산차 모델들이 신형 모델을 공개하거나 외형, 성능을 부분 업그레이드한 페이스 리프트 차량을 꾸준히 출시하며 소비자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시키고 있다.
평균 5년 이상이 걸렸던 과거와 비교하면 단기간에 빠른 속도로 새로운 외형, 브랜드명을 제시하고 있다. 여기에 FTA, 관세인하, 라인업 다양화를 내세우며 적극적인 마케팅 공략에 나선 수입차까지 포함하면 소비자들의 선택권은 더욱 넓어진다.
카피알 설문결과, 신차 출시는 실제 소비자들의 차량교체 욕구를 가장 많이 자극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구형이 되는 중고차들의 시세에 연식변경과 함께 추가적인 시세 감가 부담이 되는 요인이기도 하다.
특히 풀체인지 신형으로 교체 될 때는 더욱 그러한데, 지난 해 출시된 그랜저HG와 올 뉴모닝, 브랜드명을 전면 교체한 쉐보레는 단종된 구형 모델들의 시세 하락에 영향을 준 대표 사례다.
이밖에 개인 채무, 경기 침체 및 고유가 등으로 인한 차량 유지비 부담처럼 사회적 불안요소에 의해 운행하던 차량을 처분 혹은 교체하려는 경우도 많았다.
카피알 마케팅 담당자는 “주식이나 부동산처럼 ‘자동차 재테크’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요즘 소비자들은 신차 출시나 경기 흐름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소유한 차량의 시세가 가장 좋을 때 처분, 교체하는 것이 현명하다고 생각하는 등 차량 교체 주기에 대한 인식 자체가 많이 바뀌고 있다”며 “실제 출고 3년 이내, 주행거리 5만km 미만의 중고차들은 신차급 상태에 1인 소유, 무사고 등 중고차 구매자들이 가장 선호하는 조건을 갖춘 상태라서 중고차 판매 시 훨씬 유리하다”라고 말했다.
yayajoon@tf.co.kr
A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