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일 남아공 더반 세계탁구선수권대회 여자 복식 결승전, 중국 조에 0-3 패
1993년 예테보리 현정화 金 이후 첫 개인전 은메달
![]() |
한국 탁구의 '간판' 신유빈(왼쪽)-전지희 조가 28일 남아프리카 더반에서 열린 2023 ITTF 세계탁구선수권대회 여자 복식 결승에서 중국 조에 0-3으로 져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더반(남아공)=신화.뉴시스 |
[더팩트 | 박순규 기자] '만리장성의 벽'은 높았지만 희망은 계속 됐다. 한국 탁구 여자 복식 신유빈(18·대한항공)-전지희(31·미래에셋증권) 조가 36년 만에 세계탁구선수권 대회 결승에 올라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 비록 세계 정상의 문턱에서 최강 중국 조에 가로막혔지만 '한국 탁구의 비타민' 신유빈의 아름다운 도전으로 다음 대회 금메달 가능성을 높였다.
![]() |
준결승에서 중국의 세계 랭킹 1위 쑨잉사-왕만위 조를 꺽으며 결승에 오른 신유빈-전지희 조./더반=신화.뉴시스 |
한국 여자 탁구의 세계랭킹 12위 신유빈-전지희 조는 28일 오전(한국시간) 남아프리카공화국 더반의 인터내셔널컨벤션센터(DICC)에서 열린 2023 국제탁구연맹(ITTF) 세계탁구선수권대회 여자복식 결승전에서 중국의 세계랭킹 7위 첸멍-왕이디 조에 세트스코어 0- 3(8-11 7-11 10-12)으로 져 은메달 획득을 위안으로 삼았다.
2년 전 부상 기권으로 휴스턴 대회에서 한 경기도 뛰지 못한 신유빈-전지희 조는 준결승에서 중국의 세계랭킹 1위 쑨잉사-왕만위 조를 꺾는 이변을 일으키고 1987년 뉴델리 대회 양영자-현정화 조(우승) 이후 36년 만에 여자복식 결승에 올라 기대감을 끌어올렸으나 아깝게 금메달 획득에는 실패했다.
![]() |
한 번은 넘었으나 두 번째에선 만리장성을 넘지 못한 신유빈-전지희 조는 한국 탁구 사상 30년 만의 개인전 결승 진출이란 위업을 이룩했다./더반=신화.뉴시스 |
신예의 패기와 노장의 노련미로 돌풍을 일으킨 신유빈-전지희 조는 철저한 분석으로 결승에 나선 중국 탁구의 저력에 밀려 아쉬움을 삼켰다. 1세트 시작 후 3-3까지 세 번의 동점을 이루며 접전을 펼친 신유빈-전지희 조는 이후 7점을 연달아 내주며 8-11로 1세트를 내준 뒤 2,3세트에서 7-11, 10-12로 져 경기를 마무리했다.
하지만 신유빈-전지희 조는 1987년 양영자-현정화 이후 36년 만의 여자복식 금메달에 도전하는 쾌거를 이룩했으며 2011년 김경아-박미영 동메달 이후 12년 만의 메달 획득에 성공하는 결실을 거뒀다. 부상을 극복한 신유빈의 파이팅도 한국 탁구의 미래를 밝게 했다. 2021년 미국 휴스턴 대회에서는 손목 골절 부상이 심해지면서 단 한 경기도 치르지 못한 신유빈은 두 차례 수술과 재활을 거치며 부활, 이번 대회 은메달이란 값진 열매를 수확했다.
![]() |
10대의 패기와 30대의 노련미로 돌풍을 일으킨 신유빈-전지희 조./더반=신화.뉴시스 |
한국 선수가 세계탁구선수권대회 여자 개인전 단·복식 사상 은메달 이상의 성적을 낸 것은 1993년 스웨덴 예테보리 대회 여자 단식에가 현정화가 우승한 이후 30년 만이다. 한국은 이번 대회에서 은메달 2개와 동메달 1개를 거두며 성공적으로 대회를 마감했다. 남자복식에서 장우진(미래에셋증권)-임종훈(한국거래소) 조가 2개 대회 연속 은메달을, 조대성-임상수(이상 삼성생명) 조가 동메달을 각각 따냈다. 한국 탁구가 개인전 세계선수권에서 메달 3개 이상을 따낸 것은 남자단식에서 은메달, 남녀복식에서 동메달 1개씩을 수확한 2003년 파리 대회 이후 20년 만이다.
![]() |
한국 남자 탁구의 간판 장우진(오른쪽)-임종훈 조가 27일 남아공 더반에서 열린 2023 세계선수권대회 결승에서 0-3으로 져 2개 대회 연속 은메달에 머물렀다./더반(남아공)=신화.뉴시스 |
ITTF 세계탁구선수권대회는 1999년 네덜란드 아인트호번 대회 이후 2년마다 개인전과 단체전으로 나뉘어 번갈아 열리고 있으며 2024년 단체전은 한국의 부산에서, 2025년 개인전은 카타르 도하에서 개최된다.
skp2002@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