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팩트-CCUS 토론회] 민배현 교수 "CCUS, 탄소 감축·산업 동반 활성화 이끌 것"
입력: 2023.11.28 18:30 / 수정: 2023.11.28 18:31

"CCUS 산업 확대, 정부 정책적, 외교적 노력 절실"

민배현 이화여대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과 교수는 28일 CCUS는 이산화탄소 감축과 연계 산업 활성화를 동시에 이끌 수 있다며 제도적 지원을 촉구했다. /남용희 기자
민배현 이화여대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과 교수는 28일 CCUS는 이산화탄소 감축과 연계 산업 활성화를 동시에 이끌 수 있다며 제도적 지원을 촉구했다. /남용희 기자

[더팩트ㅣ국회=김정수 기자] 민배현 이화여대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과 교수는 28일 "CCUS는 단순히 이산화탄소를 감축하는 것뿐 아니라 연계 산업의 동반 활성화를 이끌 수 있을 것"이라며 제도적 지원을 촉구했다.

민 교수는 이날 오전 국회의원회관 제8간담회실에서 여의도연구원장을 맡고 있는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간사)과 더팩트가 공동주최한 'CCUS 산업 활성화를 위한 입법방향 토론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정책 제언'을 주제로 발제를 맡은 민 교수는 △CCUS 개요 △노르웨이 'Northern Lights'(세계 최초 대규모 CCS 전용 프로젝트) △아시아 주요국 CCUS 동향 △주요국 CCUS 정책 동향 등을 순서로 발표를 진행했다.

민 교수는 "국제에너지기구(IEA)에 따르면 CCUS의 탄소 감축 기여도는 글로벌 탄소 중립 시나리오에서 약 18%에 해당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그 중 포집된 이산화탄소의 90%는 저장, 10%는 활용하여 처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CCUS 기술은 이산화탄소를 포집·저장하는 CCS(Carbon Capture Storage) 기술과 이를 포집해 활용까지 수행하는 CCU(Carbon Capture Utilization) 기술을 뜻한다. 앞서 대통령 직속 '2050 탄소중립 녹색성장 위원회'는 지난 4월 제1차 국가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을 발표하며 총 10개 부문 감축 정책 중 CCUS를 통해 2030년까지 1120만 톤(전체 14.9%)의 이산화탄소를 흡수 및 제거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글로벌 CCUS 프로젝트의 이산화탄소 포집 용량은 연평균 약 50% 이상의 성장세를 보인다. 사진은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와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남용희 기자
글로벌 CCUS 프로젝트의 이산화탄소 포집 용량은 연평균 약 50% 이상의 성장세를 보인다. 사진은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와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 등 참석자들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는 모습. /남용희 기자

민 교수는 "CCUS는 '신기술'이라고 말할 수 없다. 어느 정도 발전된 기술로 법안의 완성을 통해 당장 실증과 상용화가 시급한 기술·산업"이라며 "대부분의 CCUS 기술은 개념이나 초기 프로토타입보다는 대형 프로토타입 이상으로 일부 기술들은 이미 성숙해 산업에 적용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CCUS 프로젝트의 이산화탄소 포집 용량의 추이를 살펴보면 연평균 약 50% 이상의 성장세를 보인다. 'GCCSI(Global Status of CCS Report) 2023'에 따르면 △2018년 3500만 톤, △2019년 4800만 톤 △2020년 7500만 톤 △2021년 1억2600만 톤 △2022년 1억9900만 톤의 이산화탄소가 포집되고 있다.

민 교수는 "CCUS에 대한 국가 차원의 연구 개발(R&D)과 실증, 상용화 등 3단계로 나눠 전략적으로 접근하는 것이 굉장히 시급하다"며 "CCUS 산업을 국내 시장뿐 아니라 해외에도 확대하기 위해서는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하는 정부의 정책적, 외교적 노력이 절실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CCUS 비즈니스 모델은 단일 컨소시엄을 구성해 이산화탄소 포집·수송·저장을 일원화하는 '풀 밸류체인 모델'에서 포집과 수송·저장을 이원화하는 '네트워크&허브 모델'로 발전하고 있다. 기존에는 대규모 온실가스 포집에 맞춰 사업이 진행됐지만 오늘날에는 소규모, 중규모 배출원에서도 감축 수요가 증가해서다.

해외에서 주목받는 CCUS 프로젝트는 노르웨이의 'Northern Lights'다. 해당 프로젝트 역시 포집과 수송·저장을 이원화해 규격에 맞는 이산화탄소를 포집한 뒤 수요에 따라 활용하게 된다. 노르웨이뿐 아니라 유럽연합(EU)의 CCUS 프로젝트 역시 이 같은 모델을 따르고 있다는 게 민 교수의 설명이다.

민 교수는 국내 CCUS 활성화의 전제 조건에 대해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이를 통한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남용희 기자
민 교수는 국내 CCUS 활성화의 전제 조건에 대해 법적 근거를 마련하고 이를 통한 정당성을 확보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남용희 기자

민 교수는 "노르웨이의 CCUS 프로젝트 역사는 단기간에 이뤄진 게 아니다"라며 "1986년 노르웨이 연구기관에서 수행한 CCUS 연구가 세계 최초로 알려져 있는데, 40년에 가까운 시간을 걸쳐 산업화 비즈니스 모델까지 발달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민 교수는 "운송 및 저장 계약에 관한 노르웨이 법이 적용되고 있고, 지리적으로 분쟁 가능성이 있는 부분에 대해서는 관련 법으로 분쟁을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며 국내 CCUS 활성화의 전제 조건 역시 법적인 근거 마련과 이를 통한 정당성 확보라는 점을 피력했다.

한국의 경우 한국석유공사와 SK 등이 말레이시아 사라왁주(州)와 '셰퍼드 프로젝트'를 통해 업무협약(MOU)을 맺어 CCUS 산업 진출을 계획하고 있다. 민 교수는 "동남아시아 국가들은 이산화탄소 저장에 유리한 다수의 퇴적분지 구조를 갖추고 있고, 관련 법안이 마련된 곳은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사라왁주"라며 "이산화탄소를 수송해서 저장하는 데 호의적인 국가"라고 설명했다.

민 교수는 '한국형 CCUS 산업 기반'을 다지기 위해서는 원천기술과 대규모 실증, 상업화의 단계별·규모별 지원이 필수적이며 해외자원개발사업의 일환으로 CCUS 융자심의 제도가 동반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 교수는 "국내에서는 컨소시엄을 토대로 하는 풀 밸류체인 모델을, 해외에서는 포집과 수소·저장을 이원화하는 컨소시엄 위주의 사업을 진행해 경쟁력을 확보해야 하는 시점"이라며 CCUS는 해외 자원개발 산업의 일환이기 때문에 투자 사업을 진행하기 위해 필요한 융자심의 제도 등이 접목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민 교수는 유관 산업들이 CCUS 산업을 활성화할수록 세금 혜택을 주는 등 각종 유인책 제도 역시 함께 마련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남용희 기자
민 교수는 "유관 산업들이 CCUS 산업을 활성화할수록 세금 혜택을 주는 등 각종 유인책 제도 역시 함께 마련됐으면 한다"고 말했다. /남용희 기자

CCUS 산업이 탄소 중립을 넘어 국내 산업 발전에 기여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언급됐다. 필수 요건 중 하나인 운송 수단에서 한국이 강점을 지니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민 교수는 "CCUS가 단순히 이산화탄소를 감축하는 것뿐 아니라 한국이 보유하고 있는 조선업, 중공업, 철강 산업의 신산업 진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CCUS 산업을 뒷받침해 줄 수 있는 연계 산업이 동반 활성화하고 관련된 수주 경쟁에서 대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최근 HD한국조선해양은 그리스의 캐피탈 마리타임 그룹과 1790억 원 규모의 대형 액화 이산화탄소(LCO2) 2척에 대한 건조 계약을 체결한 바 있다. 일본은 자체적으로 탄소를 포집해 저장하는 '토마코마이 프로젝트'에 따라 1000톤 규모의 액화 이산화탄소를 옮길 수 있는 운반선을 지난 3월 개시했다. 나아가 노르웨이 'Northern Lights'의 요청으로 약 6000톤 규모의 운반선 2건을 건조하기도 했다.

민 교수는 "CCUS 관련 법 제정이 무엇보다 절실한 시점이고 굉장히 시의적절하다고 생각한다"며 "또 유관 산업들이 CCUS 산업을 활성화할수록 세금 혜택을 주는 등 각종 유인책 제도 역시 함께 마련됐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토론회는 <더팩트>와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여당 간사인 김성원 의원이 공동 주최했고 한국자원공학회가 주관했다. 신현돈 인하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가 좌장을 맡고, 민배현 이화여대 기후·에너지시스템공학과 교수와 박기태 건국대 화학공학부 교수가 발제를 맡았다. 토론에는 조용채 서울대 에너지자원공학과 교수와 왕지훈 한양대 자원환경공학과 교수, 이웅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최연우 산업부 에너지정책관 등이 참여했다.

js8814@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실시간 TOP10
정치
경제
사회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