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석] '전장연' 논란 이준석, 장애인 권리 귀 기울여야
입력: 2022.04.03 00:01 / 수정: 2022.04.03 00:01

공감·소통하는 것이 정치인의 자세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최근 장애인 단체의 지하철 시위를 비판하며 논란을 빚고 있다. /이선화 기자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최근 장애인 단체의 '지하철 시위'를 비판하며 논란을 빚고 있다. /이선화 기자

[더팩트ㅣ신진환 기자]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가 논란의 중심에 섰다. 지하철 시위를 벌였던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전장연)를 연일 비판하면서다. 지난달 25일 "장애인의 일상적인 생활을 위한 이동권 투쟁이 수백만 서울시민의 아침을 볼모로 잡는 부조리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는 발언이 시작이다.

이 대표는 전장연의 시위 방식을 문제 삼고 있다. 서울 지하철 3·4·5호선에서 출·퇴근 시간대 시민들에게 불편을 끼치며 시위를 해야 하냐는 것이다. 그는 지난달 31일 MBC 라디오에 출연해 "시위 방식 자체가 출근길 시위라고 탑승하는 시위면 문제가 없으나 휠체어를 끼워 넣고 (지하철) 출입문이 닫히지 않게 한다"며 "많은 분이 불편을 느낀다"고 지적했다.

이 대표의 지적이 전혀 터무니없는 말은 아니라고 본다. 일반 시민들이 전장연의 지하철 시위로 불편을 겪어야 할 이유는 없다. 지하철 이용자 중 노인, 임신부, 통행이 불편한 부상자 등이 분명 있을 것이다. 급한 약속이 있을 수도 있다. '장애인 이동권' 보장 시위의 역설적인 부분이다.

설사 그렇더라도 그들이 왜 지하철 시위에 나서는 것인지 들여다볼 필요는 있지 않을까. 결과만 보고 과정을 들여다 보는 진정성이 보이지 않아 아쉽다. 장애인 이동권이 과거보다 많이 개선됐다지만, 지하철 1~8호선 275개 역 가운데 21개 역에선 장애인들의 동선이 확보되지 않았다고 한다. 일부 역사는 아예 승강기가 없다고 한다.

다른 교통편도 편의성이 떨어진다. 저상버스는 보급률이 30%대에 미치지 못하고, 특별교통수단인 장애인 전용 콜택시는 긴 대기 시간과 지자체별 지침이 달라 권역별 이동이 자유롭지 않다.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소속 회원들이 지난달 29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와 면담이 진행되는 시각 서울 경복궁역 승강장에서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인수위사진기자단
전국장애인차별철폐연대 소속 회원들이 지난달 29일 대통령직인수위원회와 면담이 진행되는 시각 서울 경복궁역 승강장에서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인수위사진기자단

이처럼 장애인 복지를 부르짖지만, 여전히 사각지대는 존재하고, 최소한의 조건인 이동권도 제약을 받고 있는 게 현실이다. 동등한 대우는커녕 불이익을 받고 있다.

때문에 이 대표가 전장연의 시위를 '떼쓰기'로 보는 것은 지나치다. 물론 시민에게 불편을 초래하는 전장연의 시위 방법이 꼭 옳다는 것은 아니다. 맞다, 틀리다의 이분법적, 불법 시위라는 법적 기준을 우선 들이대기보다는, 마음을 열고 낮은 자세로 소통하는 것이 정치인이 갖춰야 할 자세다.

전장연 측도 시위 방법을 고민해 볼 필요가 있다. '지하철 시위'가 공론화를 위한 고육지책이라면 더욱 그렇다. 뜻을 관철하기 위해선 많은 시민의 지지와 호응이 뒷받침돼야 하기 때문이다. 시민들이 등을 돌리면 전장연의 외롭고 힘겨운 싸움은 더 길어질 수밖에 없다. 안타깝게도 온라인상에서 전장연에 대한 비판 여론이 꽤 있다. 이 대표의 지적에 동의하는 것이기도 하다. 그간 불편을 겪었던 시민들의 불만이 아닐까 싶다.

국민이 차별받아야 할까. 답은 아주 간단명료하다. 이 대표는 1일 전장연과 토론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5년 만에 정권 교체를 이루며 여당으로 전환을 앞둔 이 대표는 교통 약자에 대해 공감하며 눈높이를 맞춰야 한다. 장애인 권리 향상 문제는 누구라도 귀를 기울여야 한다.

shincombi@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실시간 TOP10
정치
경제
사회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