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尹·安 측 "공약집 검토 중",
3월 9일 대통령 선거까지 약 2주밖에 남지 않았지만 주요 정당 후보들의 '공약집'은 아직이다. 지난 21일 까지, 공약집을 내놓은 후보는 심상정 정의당 후보가 유일하다./남윤호·이선화·임세준 기자 |
[더팩트ㅣ국회=곽현서 기자] 3월 9일 대통령 선거까지 약 2주밖에 남지 않았다. 하지만 주요 정당 후보들의 '공약집'은 찾아볼 수 없다. 막말과 네거티브로 '역대급 비호감 선거'라는 평가를 받는 20대 대선에서 '정책 경쟁'이 사라진 것이다. 현 상황에 대해 전문가들은 '믿을 수 없다'는 평가를 내놨다.
공약집이 중요한 이유는 공약집에 실린 순서·분량 등에 따라 후보자의 공약 실현 의지 및 집권 후 구상 등을 엿볼 수 있기 때문이다. 법정 선거 운동일(2월 15일)부터 일주일이 흘렀지만 21일 기준, <정책공약집>을 발표한 주요 후보(이재명 더불어민주당·윤석열 국민의힘·심상정 정의당·안철수 국민의당)는 심 후보가 유일하다. 이들은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하기 위한 '대통령 선거 10대 공약집'을 각각 제출했지만, 공약 이행을 위한 세부계획·자원 조달 방법·추정 예산액 등이 포함된 공식 공약집은 아직 완성 전이다.
세 후보 측은 각각 공약집 발표가 미뤄지고 있는 것에 대해 '정확한 검토'를 이유로 들었다. 윤 후보 선대본부 관계자는 <더팩트>와 통화에서 "빨리 나오는 것보단 정확하게 나오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언제 나오겠다고 정확히 말씀드릴 순 없지만,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했다.
이 후보 측도 상황은 마찬가지다. 이 후보 측 관계자도 "아직 공약집에 대해선 검토가 진행 중"이라고 했다. 안 후보 측은 늦어도 2월 말 때쯤에는 공약집을 발표하겠다고 전했다. 안 후보 선대위 관계자는 "어느 후보든 다 마찬가지일 테지만 마지막까지 점검이 이뤄지고 있다"면서 "공약집은 늦어도 이번 달 말일까지는 발표하겠다"고 했다.
사전 투표일은 3월 4일부터 5일까지다. 이를 고려하면 유권자들은 사실상 투표가 2주도 채 남지 않은 시점에서야 공약집을 받아 들 수 있다. 각 후보 측이 '검토'를 이유로 들며 공약집 완성 시점을 확정 짓지 않아 최악의 경우 1주일 전에 받을 가능성도 거론된다.
공약집 발표가 늦어지자 '예산 설정', '재원 조달' 등 실현 가능성에 대한 의문도 제기된다. 한국매니페스토실천본부에 따르면 이 후보와 윤 후보가 내건 공약을 이행하기 위해선 각각 300조·266조 원 이상의 재원이 소요될 전망이라고 밝혔다. 안 후보의 공약 들은 201조 원이 들 것이라고 했다.
문제는 대다수 공약에 대한 재원 조달 방안이 명확히 마련되지 않았다는 데 있다. 매니페스토 본부의 지적에 대해 이 후보는 대부분 공약 재원 조달 방안으로 국비 및 지방비, 민간 투자자금을 활용하겠다고 제시했고, 윤 후보와 안 후보는 세출 및 재량지출 구조조정, 예산 비율 조정을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구체적이고 명확한 증세와 비용 안을 제시한 후보는 없었다.
사전투표일이 3월 4일~5일인 점을 감안하면, 유권자들은 투표 2주 전에 공약집을 받아볼 수 있다. 하지만 각 후보 측이 '검토'를 이유로 공약집 발간을 늦추는 상황에서, 최악의 경우 1주 전에 받을 가능성도 거론된다. 이에 정치권 전문가들은 '이례적인 상황을 넘은 특종감'이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남용희 기자 |
정치권 관계자들은 대선이 얼마 남지 않은 상황에서 아직까지 공약집이 나오지 않은 것에 대해 '이례적인 상황을 넘은 특종감'이라고 비판하고 나섰다.
최진 대통령리더십연구원장은 "이번 대선은 진영·네거티브 선거이기 때문에 정책 외적인 것들이 더 이슈가 됐다"면서 "각 정당이 상대측에 대한 공격과 방어에만 비중을 둔 탓"이라고 일갈했다.
정책 차별성이 없다는 점도 지적했다. 최 원장은 "각 후보들이 '중도층' 표심 잡기에 사활을 걸고 있는데 중도층의 가장 큰 특징은 정책적 색깔이 강하지 않다는 것"이라며 "그러다 보니 두 후보가 언급한 '소상공인·자영업자'에 대한 코로나19 피해 보상, 병사 월급 200만 원 인상 등은 내용만 다를 뿐 사실상 같은 맥락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정성철 정치평론가는 "후보로 뽑힌 지 두 달이 넘었는데도 책자 형태로 집대성되지 않은 것 자체부터가 문제"라며 "비용과 예산 문제를 정확하게 검토하지 않는 공약은 더 큰 문제"라고 했다.
그러면서 '피해 보상·여성가족부 폐지' 등 특정 세대·성별 등 타깃형 공약에 집중한 것을 거론하며 "공약에 대한 일정한 철학과 가치관이 결여된 상태에서 공약을 발표하고 있다. 정권교체, 정권 재창출 등 여론 프레임으로 선거를 치르려고 하므로 지역발전 등 굵직한 공약 등에 대한 논의가 부족한 단적인 모습이 이렇게 드러나고 있다"고 비판했다.
zustj9137@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