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는 박영선 국민의힘 후보보다 20% 이상 지지율이 앞서고 있는 상황이다. 오 후보가 유세 중 시민들에 둘러 쌓인 모습. /국회사진취재단 |
선거 유세와는 다른 분위기…2030 자유 연설도 '호응'
[더팩트|국회=문혜현 기자] 국민의힘이 4·7 서울시장 재보궐선거 지지율 상승세에도 당력을 총동원하는 등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특히 이번 선거유세에선 '당명·기호·이름'을 적지 않은 피켓 시위가 등장하기도 했다.
국민의힘은 각 의원실 보좌진들을 각 당협으로 나누어 자발적으로 '1인 피켓시위'에 나서도록 했다. 피켓에는 이번 선거 발생 이유와 투입되는 세금, LH 사태를 지적하는 내용들이 적혀 있다.
A 보좌진은 통화에서 "사람들이 많이 쳐다보는 것 같다. 선거운동원처럼 후보를 뽑아달라고 호소하는 것과는 달라서 색다른 시도 같다"고 밝혔다. 피켓 시위는 비서부터 보좌관까지 모두 참여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B 보좌진은 "(민주당 세가 강한) 강북을이었는데도 시민들이 눈살을 찌푸린다거나 그런 건 없었다. 느낌이 확실히 다르다. 어떤 분들은 선거사무원들에게 악수하고 가는 사람들도 있었다. 지지율 (상승이) 느껴지더라"라고 평가했다.
![]() |
국민의힘은 최근 지지율 상승세에도 당력을 총동원해 선거 유세에 나서고 있다. 그중 당명과 기호, 후보 이름을 쓰지 않은 '1인 피켓 시위'가 눈에 띈다. /국민의힘 제공 |
지난달 31일 발표된 마지막 여론조사에서 오세훈 국민의힘 후보는 박영선 더불어민주당 후보를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리얼미터가 YTN·TBS 의뢰로 서울 거주 유권자 1039명을 대상으로 '서울시장 보궐선거에 출마한 후보 중 누구에게 투표하겠느냐'고 물은 결과, 오세훈 후보 55.8%, 박영선 후보 32.0%로 집계됐다. 두 후보 간 격차는 23.8%포인트다.
또 '서울시장 선거에서 누가 당선될 것으로 예상하느냐'는 질문에 오 후보를 꼽은 응답은 62.1%인 반면, 박 후보를 꼽은 응답은 28.2%에 그쳤다. 두 후보의 격차는 두 배 이상이다.
이번 조사는 지난달 29~30일 이틀간 서울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1039명을 대상으로 무선 가상번호(90%) 및 유선 RDD(10%)를 병행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전화면접(50%)·자동응답(50%) 혼용 방식으로 실시됐다. 응답률은 14.9%, 표본오차는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0%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누리집 참조.)
![]() |
국민의힘은 높은 지지율에 안주하지 않고 집중 유세에 나설 계획이다. 지난 30일 서울 여의도 KBS에서 열린 서울시장 보궐선거 후보자 초청 토론회에 참석한 박 후보와 오 후보. /국회사진취재단 |
이처럼 큰 지지율 격차에도 국민의힘은 긴장의 끈을 놓지 않고 있는 모습이다. B 보좌진은 "당협에서도 '지지율 믿고 안심하면 안 된다'는 분위기다. 이럴수록 더 열심히 하고, 투표일에도 모두 선거하러 가야 한다는 이야기가 많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선거에서 이기면 국민의힘이 서울시장과 부산시장, 제1도시와 2도시에 서는 것"이라며 "대선 때 영향을 많이 받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국민의힘은 최근 집중유세 때마다 2030세대 자유 연설자를 모집해 마이크를 쥐어주고 있다. 오세훈 캠프 뉴미디어본부장인 이준석 전 최고위원이 구글폼을 통해 '2030 시민참여 유세' 신청을 받아 유세장에 서는 식이다. 시민들은 사전 연설내용 전달 없이 자유롭게 발언할 수 있다.
그중 지난 29일 유세에서 자신을 서울 마포구에서 사업을 운영한다고 밝힌 30대 청년의 영상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오세훈TV 등이 '비니좌'라고 이름 붙인 이 청년은 오 후보의 잘못을 지적하면서도 더불어민주당과 정부를 향한 거센 비판으로 호응을 얻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B 보좌진은 "여기 유세현장에서도 해당 영상을 틀어놨다. 그걸 보고 지나가는 사람도 많다"며 "처음엔 당에서 따로 모집해 세운 줄 알았다. 항상 그래왔다. 하지만 이번엔 아니라는 게 느껴졌다"고 했다.
moone@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