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열린 노동당 전원회의가 어떤 의도로 개최됐는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북한 노동당 제7기 제4차 중앙군사위원회 확대 회의에 참석한 장면./조선중앙TV 캡처 |
"'당 창건 75주년'을 위한 목표 재설정"
[더팩트ㅣ통일부=박재우 기자] 북한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수해피해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1년에 한번 개최하던 노동당 전원회의를 19일 이례적으로 8개월 만에 소집하면서 그 배경에 이목이 쏠린다.
지난해 12월에 열린 앞선 전원회의(제7기 5차) 당시에는 북미 간 기싸움이 팽팽했다. 북미 협상 교착 상황이 길어지자 북한은 '크리스마스 선물'을 예고하고 전 세계의 이목을 끌었다. 이에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올해 신년사에 어떤 메시지가 나올지 주목됐지만, 신년사는 없었고 '당 전원회의'에서 자력으로 경제난을 극복하겠다는 '정면 돌파' 선언뿐이었다.
이처럼 전원회의는 당시 '국면전환용'으로 사용됐지만, 전문가들은 이번 회의 개최에 '노동당 창건 75주년( 10월 10일)'을 맞아 성과를 만들어 내기 위한 절차일 뿐이라고 해석했다. 북한이 그동안 처했던 어려움을 돌파했다면서 자화자찬 할 가능성이 높다고 봤다. 그러면서 대미·대남메시지에 대해서는 별다른 내용이 없을 거라고 예상했다.
당 전원회의는 큰 틀에서 북한의 대내외 정책을 밝히는 중요한 자리로 알려져 있지만, 이번 회의에서는 새로운 내용보다는 당 정치국 회의와 정무국회의에서 논의된 문제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김정은 위원장이 황해북도 은파군 대청리 일대 홍수 피해 현장 방문 당시. /조선중앙TV캡쳐 |
당 전원회의는 큰 틀에서 북한의 대내외 정책을 밝히는 중요한 자리로 알려져 있지만, 이번 회의에서는 새로운 내용보다는 당 정치국 회의와 정무국회의에서 논의된 문제를 결정할 것으로 보인다. 북미·남북관계 등 대외정세에서 특별한 변화가 없었기 때문이다.
그보다 북한의 노동당 창건 75주년 기념일에 이목이 쏠린다. 그동안 북한은 이날을 결산일로 정하고 올해 초부터 '자력갱생'을 위한 각 분야별 목표를 꾸준히 제시해왔다. 하지만, 코로나19 사태와 최근 수해 피해 상황까지 겹쳐지면서 목표 달성에 큰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13일 김정은 위원장은 당 정치국 회의를 열고 수해피해 규모를 공개하고, 외부의 인도적 지원을 받지 않겠다고 공개적으로 거절했다. 그런만큼 수해복구의 성과를 북한 내부에 돌릴 가능성이 높다. 전문가들은 이번 전원회의 개최가 '당 창건 75주년'을 위한 과정이라고 봤다.
곽길섭 원코리아센터 대표는 <더팩트>와 통화에서 "김정은 시대 들어 합리적인 정책결정과 정상국가의 면모를 보여주기 위해 정치국회의나 전원회의를 많이 개최했다"면서 "그동안의 조치들을 종합하고,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을 제시하는 회의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전원회의 개최가 '당 창건 75주년'을 위한 과정이라고 봤다. 북한 조선중앙TV가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 대책에 대해 방송하는 장면. /조선중앙TV.뉴시스 |
이어, "북한 입장으로 내부적으로는 당 창건 75주년, 외부적으로는 미국 대통령 선거가 최대 기점인데, 향후 8개월간의 전반적인 정책결정이 될 것"이라며 "북한의 대북·대남정책은 미국 대선 이후에 정비될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홍민 통일연구원 북한연구실장도 통화에서 "북한 입장에서 가장 절실한 것은 당 창건일이 얼마 남지 않았기 때문에 어떤 방식으로 이 기념일을 빛낼 수 있느냐일 것"이라며 "성과를 조정하거나, 수해복구 그 자체를 성과로 대체하는 안을 이미 내놨다"고 설명했다.
또한, "코로나19와 관련해서 장기간에 걸쳐 북한도 대응해야 하기 때문에, 이와 관련한 당 상설조직을 발표할 것으로 보인다"고도 부연했다. 그러면서 대미·대남 메시지와 관련해서는 "북미관계 관련해 새로운 움직임이 없다. 그동안 반복했던 정면돌파 원칙 변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북한이 전략적으로 남측에 대한 '무시전략'을 사용 중이기 때문에 대남 메시지는 거의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고 덧붙였다.
한편, 19일 열린 당 전원회의는 나흘 동안 열렸던 지난해처럼 회의가 이틀 이상 진행될지, 하루 만에 끝날지 아직 알려지지 않았다. 북한은 관련 내용을 20일쯤 보도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