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은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를 통해 아세안 국가들과 강력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향후 한국 경제 영토를 넓히는 데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문 대통령이 26일 오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기 위해 단상에 오르고 있는 모습.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제공 |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27일 폐막…文, 확고한 경제 협력 기반 마련
[더팩트ㅣ부산=신진환 기자] 한·아세안(ASEAN·동남아시아국가연합) 특별정상회의와 제1차 한·메콩 정상회의가 27일 막을 내렸다. 문재인 대통령은 아세안 정상들과 연쇄 정상 외교를 통해 확고한 경제 협력 기반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특히 현 정부 핵심 전략 정책인 신남방정책의 새 지평을 열었다는 점은 이번 정상회의의 성과로 꼽힌다.
문 대통령은 지난 24일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와 정상회담을 시작으로 나흘 동안 서울과 부산에서 아세안 정상들과 만나 친밀도를 높였다. 무엇보다 한국이 아세안을 향한 진정성과 정책 의지를 분명하게 보여주며 한-아세안 관계를 한 단계 도약하는 데 주력했다.
"아세안은 한국의 영원한 친구이며 운동공동체입니다. 아세안의 발전이 한국의 발전이라는 생각으로 언제나 함께하겠습니다" "아세안의 꿈이 한국의 꿈입니다" "아시아 정신을 공유한 한-아세안이 하나로 뭉친다면, 새로운 도전을 얼마든지 성공으로 이끌 수 있습니다"라며 아세안의 품을 파고들었다.
이를 통해 '한-아세안 공동비전'과 '공동의장 성명', '한-메콩 선언'을 채택하는 등 아세안 10개국과 협력 관계를 구체화했다. 채택된 선언 등에는 경제·외교·안보·무역·문화 등 분야에서 동반자 관계를 설정하고 공동 번영을 위해 한국과 아세안이 긴밀히 협력하며 우호적인 관계를 지향하자는 게 주요 골자다.
이외에도 △미래기술 표준 협력을 위한 표준화 공동연구센터 △기술협력을 위한 산업혁신기구 △쌍방향 금융협력 증진을 위한 금융협력센터 설립 △스타트업 상호 협력과 육성을 위한 생태계 조성 △국방 및 방산협력 확대 △문화산업 교류 증대와 콘텐츠 산업 확대 등 다양한 성과 사업을 공동의장성명에 담았다.
문재인 대통령이 26일 오전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에서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왼쪽부터 마하티르 모하맛 말레이시아 총리, 아웅산 수치 미얀마 국가고문, 로드리고 두테르테 필리핀 대통령, 리셴룽 싱가포르 총리, 쁘라윳 짠-오차 태국 총리, 문 대통령, 응우옌 쑤언 푹 베트남 총리, 하사날 볼키아 브루나이 국왕, 프락 속혼 캄보디아 부총리 겸 외교부 장관, 조코 위도도 인도네시아 대통령, 통룬 시술릿 라오스 총리. /2019 한-아세안 특별정상회의 제공 |
특히 문재인 정부의 핵심 전략 정책인 '신남방정책'의 새 지평을 연 것은 이번 정상회의의 최대 성과다. 아세안 국가들과 강력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향후 한국 경제 영토를 넓히는 데 발판을 마련했다는 평가다. 경제 지평 확대를 위한 기틀을 마련한 것을 토대로 '신남방정책 2.0'의 추진 동력을 확보했다.
주형철 청와대 경제보좌관은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신남방정책이 향후 30년간 한-아세안 협력 정책으로 아세안 국가들로부터 확고한 지지를 받아 본궤도에 올랐다"며 "이를 통해 경제·사회·문화·평화·외교 분야에서 한-아세안 관계를 주변 4강(미국·중국·러시아·일본) 수준으로 끌어올리는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아세안으로부터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에 대한 굳건한 지지를 얻는 수확도 거뒀다. 문 대통령과 아세안 정상들은 평화적 방식을 통한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및 항구적 평화 구축을 지지하기 위해 아세안 주도 지역 협의체를 활용하는 등 대화와 협력을 추진하고 촉진, 결과적으로 역내 항구적 평화와 안보 안정에 기여하자는데 공감대를 이뤘다.
아세안 의장국인 쁘라윳 태국 총리는 26일 공동언론발표에서 "비핵화된 한반도에서 지속적인 평화와 안정을 확립하기 위한 문 대통령의 약속과 비전을 환영한다"며 "한-아세안의 최우선 공통 상황은 바로 한반도 상황이다. 한국이 수행하는 중요하고 건설적인 역할을 지지한다"고 말했다.
북한과 미국 간 비핵화 협상과 남북관계가 모두 교착상태에 빠진 상황에서 북한이 유일하게 참여하는 역대 다자안보협의체인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등을 통해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와 항구적 평화 정착을 촉진할 것으로 기대되는 대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