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F프리즘] '靑 사정' 알려면 'SNS'부터 훑어라?
입력: 2017.12.26 04:00 / 수정: 2017.12.26 04:00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청와대는 뉴미디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자체 온라인 콘텐츠 생산을 확대하며 국민과 소통 면을 넓혀 나가고 있다./청와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유튜브 갈무리
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 청와대는 뉴미디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자체 온라인 콘텐츠 생산을 확대하며 국민과 소통 면을 넓혀 나가고 있다./청와대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트위터, 유튜브 갈무리

청와대, 페이스북·유튜브 등 자체 온라인 콘텐츠 생산 확대

[더팩트 | 청와대=오경희 기자] "청와대 페이스북에 뭐 올라왔어?"

청와대 SNS(사회관계망 서비스) 계정을 매일 확인하는 일은 출입기자들의 주요 업무가 됐다. 문재인 정부는 출범 직후, 뉴미디어 플랫폼을 기반으로 국민과 소통 면을 강화해왔다. SNS를 활용해 '자체 미디어'로써 기능하고 있다. 공식 일정 브리핑, 정책 설명, 뉴스 전달 등에 이어 최근 예능적 요소를 더한 온라인 방송까지 론칭했다.

가장 이목을 끈 것은 '청쓸신잡(청와대에 관한 쓸데없는 신비로운 잡학사전)'이다. <tvN>의 '알아두면 쓸데없는 신비한 잡학사전'을 패러디했다. 지난 20일 페이스북과 유튜브 등 동영상 플랫폼을 통해 1화를 방송했다. 윤영찬 국민소통수석과 박수현 대변인, 정혜승 뉴미디어 비서관, 신지연 해외언론비서관이 출연해 문재인 대통령의 해외 순방 뒷얘기 등을 풀어놓았다. 사회는 방송인 겸 칼럼니스트인 황교익 씨가 맡았다. 외부 인사 기용으로 외연을 확장했다.

청와대는 그동안 자체 온라인 콘텐츠 생산·확대를 해왔다. 출범 한달 만인 지난 6월 9일 '국민과 함께한 문재인 정부 30일 동영상'을 시작으로, 지난 8월 19일 홈페이지를 개편하며 '뉴스룸'을 만들었다. '청와대 온에어''청와대 브리핑' 등을 개설했고, '국민청원' 코너에서 국민들의 의견을 직접 수렴 중이다. 또 정오뉴스 격인 '11시50분 청와대입니다'를 고민정 부대변인이 맡아 진행한다.

온라인 콘텐츠 유통 채널은 청와대의 'SNS 계정'이다. 페이스북, 트위터, 유튜브, 인스타그램, 카카오톡플러스 등 5개나 된다. 지난 8월 100일을 맞은 문 대통령의 '소소한 인터뷰' 동영상도 SNS 계정을 통해 공개됐고, 각 부처 장관과 청와대 참모진들은 때때로 '친절한 청와대' 코너를 통해 국정상황을 국민에게 브리핑했다. 공식 연설문 외에 문 대통령이 직접 쓴 대(對) 국민 메시지를 SNS에 바로 올리기도 했다. 해외 순방 'B컷'은 페이스북, 문 대통령 내외의 소소한 일상은 인스타그램을 통해 전달했다.

이 모든 중심엔 청와대 뉴미디어비서관실이 있다. 문 대통령은 집권 초부터 SNS를 통해 국민과 적극 소통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기존의 홍보수석을 '국민소통수석'으로 바꾸고, 윤영찬 전 네이버 부사장을 기용했다. 대통령과 청와대의 SNS 소통을 책임 질 뉴미디어비서관에는 정혜승 전 다음카카오 부사장을 영입했다. 정 비서관은 청와대 입성 후 정보기술(IT)업계 문화를 비서관실에 접목하며 '뉴미디어 실험'을 구현하고 있다는 평가다. 자신은 물론 직원들끼리 직함 대신 닉네임으로 부르는 게 대표적이다. 정 비서관의 닉네임은 '마녀'를 변형한 '마냐'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오뉴스 격인 11시50분 청와대입니다를 고민정 부대변인이 맡아 진행한다./청와대 페이스북 영상 갈무리
정오뉴스 격인 '11시50분 청와대입니다'를 고민정 부대변인이 맡아 진행한다./청와대 페이스북 영상 갈무리

청와대의 '뉴미디어 실험' 확대 과정에서 '잡음' 또한 불거졌다. 언론 기능을 실현하며 일부 언론의 불만에 직면하기도 했다. 지난 11월 13일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실 소속 고민정 부대변인 등이 청와대 페이스북 계정을 통해 내보낸 생방송 건 때문이었다. 사전 예고 없이 한-아세안 정상회의차 필리핀을 방문 중인 문 대통령의 순방 일정과 현장 분위기를 전했고, 일부 방송사는 이에 대해 항의했다. 청와대 측은 "1인 미디어가 보편화된 시대적 흐름을 감안할 때 필요시 청와대도 자체적으로 보도할 수 있는 주체"라고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 측은 앞으로도 뉴미디어 분야를 더 확대할 계획인 것으로 전해졌다. 이는 문 대통령이 강조해온 국민의 정치참여 확대와 언론을 통해 시대 흐름에 발맞춰 국민과 소통하는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나기 위한 흐름과 맞닿아 있다. 물론 우려도 있다. 70%의 높은 지지율을 얻는 상황에서 '집단극화' 가능성을 일부 제기한다. 이 같은 시선을 벗기 위해선 각계각층의 목소리를 담는 고민이 필요한 시점이란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ari@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실시간 TOP10
정치
경제
사회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