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F초점] 안철수 vs 손학규 양보없는 '경선룰' 샅바싸움
입력: 2017.03.04 05:00 / 수정: 2017.03.05 23:18
국민의당 소속 대선주자인 안철수(왼쪽) 전 공동대표와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가 대선 경선룰을 두고 샅바싸움을 하고 있다. /더팩트DB
국민의당 소속 대선주자인 안철수(왼쪽) 전 공동대표와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가 대선 경선룰을 두고 샅바싸움을 하고 있다. /더팩트DB

[더팩트 | 서민지 기자] 국민의당 소속 대선주자인 안철수 전 공동대표와 손학규 전 민주당 대표가 '경선룰'을 두고 힘겨루기를 거듭하고 있다. 대선으로 가는 중요한 길목인 만큼 서로에게 유리한 방식을 관철시키기 위해 팽팽한 기싸움을 벌이는 것이다.

이용호 국민의당 경선룰 TF(태스크포스)팀장은 10여 차례 회의에도 양측이 평행선을 달리자 급기야 지난 2일 '협상 중단'을 선언했다. 3일 간신히 오전과 오후 두 차례 회의를 열었지만, 또 합의를 이루지 못하면서 협상에서 발을 뺐던 당 지도부도 나섰다.

국민의당 대선기획단은 오는 5일 오후 7시를 '마지노선'으로 여론조사(또는 공론조사)를 25% 전후로 반영하고 나머지는 현장투표를 반영하는 최종 중재안을 양측에 제시, 의견을 조율해 줄 것을 요구했다.

당은 따로 선거인단을 모집하지 않고 현장투표소에서 누구나 투표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완전국민경선제(현장투표)' 방식을 택한 만큼 경선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더이상은 미룰 수 없다는 입장이다.

◆ 현장투표 vs 여론조사…적용 비율이 문제

안 전 대표 측은 현장투표 40%, 여론조사 30%, 공론조사 30%로 4:4:3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손 전 대표 측은 현장투표 90%, 숙의배심원제 10%인 9:1로 후보를 뽑자고 제안했다. /손학규 페이스북
안 전 대표 측은 현장투표 40%, 여론조사 30%, 공론조사 30%로 '4:4:3'을 주장하고 있다. 반면, 손 전 대표 측은 현장투표 90%, 숙의배심원제 10%인 '9:1'로 후보를 뽑자고 제안했다. /손학규 페이스북

최대 쟁점이었던 '모바일투표'라는 산을 뛰어넘었지만, 양측은 이번엔 현장투표와 여론조사 비율을 두고 논쟁 중이다.

안 전 대표 측은 현장투표 40%, 여론조사 30%, 공론조사 30%로 '4:3:3'을 주장하고 있다. 그러나 손 전 대표 특은 현장투표 90%, 숙의배심원제 10%인 '9:1'로 후보를 뽑자고 제안했다. 당 지도부는 현장투표 70~80%, 여론조사(공론조사 포함) 20~30% 선에서 양 측이 의견을 조율해줄 것을 제안했지만, 합의는 실패했다.

사실상 전국적 인지도가 높은 안 전 대표 측은 '모바일투표' 방식을 지향하지만, 손 전 대표 측이 '난색'을 표하면서 한 수 접었기에 차선인 '여론조사'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반면, 손 전 대표 측은 호남에서 집중적인 인기가 있는 데다 민주당에 조직력이 잔재하는 만큼 신분증만 있으면 누구나 투표가 가능한 '현장투표'에 무게를 두는 편이다.

안 전 대표 측은 현장투표를 진행할 경우 '역선택'을 우려했다. "정당 사상 전국적으로 250여개 투표소를 설치해서, 선관위 위탁과 선거인명부 없이 정당이 관리하는 선거는 처음"이라는 이야기다. 때문에 선관위 위탁을 할 수 없는 현장투표 이외 선관위 위탁을 할 수 있는 여론조사 및 공정조사를 병행해서 "투표방식을 다양화 하자"고 주장했다.

안 전 대표 측 김철근 대리인은 지난 2일 기자간담회에서 "모바일투표 하지 않겠다고 하는 건 사전선거인단 모집을 하지 않는 것이기 때문에 우리로선 엄청난 양보를 한 것이다. 사전선거인단 모집을 하면 규모나, 집단들의 움직임을 볼 수 있다. 그러나 현재 현장투표는 '역선택'을 전혀 방지할 수 없다"고 말했다.

◆ 공론조사와 여론조사 그리고 숙의배심원제

국민의당 대선주자는 현장투표:여론조사 비율을 두고 의견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1월 15일 오후 일산 킨텍스에서 국민의당 전국당원대표자대회가 열린 가운데, 당원들이 투표를 하고 있다. /이새롬 기자
국민의당 대선주자는 현장투표:여론조사 비율을 두고 의견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사진은 지난 1월 15일 오후 일산 킨텍스에서 국민의당 전국당원대표자대회가 열린 가운데, 당원들이 투표를 하고 있다. /이새롬 기자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공론조사 여론조사 숙의배심원제 등 같은듯 다른 '경선 방법'을 두고 두 후보는 서로에게 유리한 방안을 밀어붙이고 있다.

안 전 대표 측은 '공론조사'의 경우 지난 2011년 손 전 대표가 민주통합당 대표를 지냈을 당시 서울시장 재보선 경선에서 박원순-박영선 후보 경선룰에서 따온 만큼, 손 전 대표가 받아들여야 한다는 주장을 펼치고 있다.

안 전 대표 측이 주장하는 공론조사는 배심원단이 후보들의 TV토론회를 본 후 ARS(자동응답시스템)로 투표하는 방식이다. 공론조사는 후보에 대한 판단 근거를 제공하고 선거인단이 충분한 토론을 통해 판단하게 된다는 점이 단순 여론조사와 다르며 선거인단 수를 대폭 확대할 수 있다는 점에서 배심원제와 다르다는 해석이다.

그러나 일단 "여론조사는 받을 수 없다"는 입장인 손 전 대표 측은 공론조사가 ARS를 이용한다는 점에서 여론조사와 차이가 없다고 보고, 공론조사를 숙의배심원제로 한다면 현재 주장하는 "10% 비중을 조정할 수 있다"고 했다.

손 전 대표 측이 주장하는 숙의배심원제는 세 후보가 동수의 배심원을 추천하고, 배심원들이 한 자리에 모여 후보들의 토론회를 본 뒤 현장에서 투표를 하는 방식을 뜻한다.

손 전 대표 측 윤석규 대리인은 지난 2일 기자간담회에서 "안 전 대표가 주장하는 공론선거는 2011년 약 1400여 명의 배심원단을 모집했는데, 실제 TV토론을 보고 ARS에 응답한 사람은 600~700명이었다. 1400명 중 50%도 안 되는 숫자로, 참여율이 저조하다"고 주장했다. 다만, 세 후보가 동수 추천하는 방안에 대해선 "고집하지 않겠다"고 한 발 물러섰다.

안 전 대표 측은 숙의배심원제에 대해 "ARS 전화로 40%밖에 안 되는데 현장투표는 얼마나 오겠나. 지방에서 오면 차비 등 비용 지불은 어떻게 할거냐"고 부정적인 반응을 드러냈다. 또한 여론조사와 공론조사가 같다는 데 대해선, "조사 결과가 다르게 나온다. 경선은 경쟁력 있는 후보를 선출해 본선에서 이기려 하는 것"이라면서 "기울어진 운동장을 평평하게 하기 위해서 하향평준화 할 순 없는 노릇"이라고 지적했다.

박지원 대표는 3일 오전 기자들과 만나 "공론조사다, 일반여론조사다 하는 건 별 의미가 없어진 것 같다. 이용호 경선룰 TF팀장 보고에 의하면 여론조사로 될 확률이 있다"고 설명했다.

◆ 민주보다 늦게 vs 가능한 빨리…언제 할 것인가

국민의당 대선주자들은 경선 시기도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왼쪽부터 천정배 전 공동대표, 안 전 대표, 손 전 대표,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 /손학규 페이스북
국민의당 대선주자들은 '경선 시기'도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있다. 왼쪽부터 천정배 전 공동대표, 안 전 대표, 손 전 대표, 박지원 국민의당 대표. /손학규 페이스북

경선 시기에 대한 입장도 다르다. 손 전 대표 측은 민주당 경선 이후를 주장했고, 안 전 대표 측은 민주당과 관계없이 가능한한 빨리 진행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내비쳤다.

손 전 대표 측 윤 대리인은 경선 '흥행'을 이유로 꼽으며 "시기를 특정하진 않았지만, 우리당 최종 후보결정이 민주당 보다 약간 늦었으면 좋겠다. 민주당의 경선 결과는 뻔하지 않나. 뻔한 결과가 나온 다음에 우리가 하는 게 흥행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안 전 대표 측 김 대리인은 '본선 경쟁력'을 이유로 들었다. 그는 "솔직히 우리당 후보가 1등하고 있는 게 아니지 않나. 국민의당에서 선출되는 후보는 (민주당 대선후보를) '추격하는 후보'"라면서 "본선에 너무 임박해서 선출하면, 추격하는 후보로서 전술을 쓰기가 상당히 어렵다. 본선에서 경쟁력을 가질 수 있도록 최대한 빨리하는 것이 옳다"고 말했다.

mj79@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실시간 TOP10
정치
경제
사회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