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6'세대의 노후는 어떻게 준비될까. '86'세대라는 말이 등장했다. '30대, 80년대, 60년대생'을 지칭했던 '386세대'가 50대에 들어서며 앞에 '3'자가 없어졌음을 의미한다. 경제활동의 주축인더 이 386세대가 50대에 진입하면서 우리 사회는 이들의 은퇴 이후에 발생하는 삶의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사진은 새누리당의 주최로 진행된 기초연금법 입법을 위한 토론회의 한 장면./문병희 기자 |
이번 새정치민주연합의 2·8 전당대회 과정 중 예전에 보지 못한 신조어가 하나 눈에 띄었다. 바로 '86세대'인데 이인영, 오영식 후보 등이 거론될 때 나온 단어이다. 이전에는 '30대, 80년대 학번, 60년대생'을 '386세대'라 지칭했지만 이제 그 세대가 30대를 훨씬 지나고 40대를 넘어서 50대에 들어섰기 때문에 30대를 뜻하는 '3'자는 떼어버린 것이다.
386세대의 부모 세대는 70대가 되었고 경제활동의 주축이었던 386세대 스스로도 50대에 진입했기 때문에 은퇴 이후의 삶에 대한 문제는 우리 사회가 해결해야 할 가장 큰 과제로 다가와 있다. 특히 한국은 이미 2000년에 고령화 사회에 진입했으며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렇다면 은퇴 이후의 삶과 관련해 얼마의 자금이 필요할까? 지난 16일 신한은행이 부부은퇴교실 참가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은퇴 후 필요한 생활비는 얼마 정도 예상하는가'란 질문에 대해 '100만~200만 원 사이' 7%, '200만~300만 원 사이' 33%, '300만~ 500만 원 사이' 43%, '500만 원 이상' 13%로 응답했다. '월 평균 300만 원 이상'이라고 응답한 비율은 56%로 절반을 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는 자녀결혼 등 목돈 지출이 남아있는 50대를 대상으로 조사했기 때문에 은퇴 후 필요한 월 생활비에 대한 수준이 다소 높은 것은 아닐까 추측된다. 은퇴 이후의 삶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65세를 기준으로 필요한 월 생활비를 다시 물어봤다면 이보다는 조금 낮은 수준으로 응답되지 않았을까 판단된다.
대개 65세 이후에 접어들면 몸이 아픈데 드는 비용 이외에 크게 돈들어갈 데가 없는데다 여가나 놀이를 할 친구들도 점점 사라지게 되고 또 건강도 여의치가 않아 돈을 쓰고 싶어도 쓸만한 기회가 잘 안생기게 되기 때문이다.
더구나 현재 우리 사회가 직면한 노후 문제는 매일매일 들어가는 경제적인 비용뿐 아니라 어르신들의 일자리, 문화와 여가, 성생활, 노인 우울증, 의료 서비스 제공 등 세부적으로 챙겨야할 내용도 점점 늘어나고 있다.
삶의 행복을 위한 대응방법은 무엇일까.'최근 부모와 자식 세대간에서 '일자리' 또는 '부동산'을 두고 이견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풀기 위해선 대응 방법을 모색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제15회 할아버지할머니 한마음축제 현장./문병희 기자 |
그러나 최근 4~5년 전부터 '세대 전쟁'이란 이름으로 부모 세대와 자식세대가 '일자리'를 놓고 싸운다거나 '집(부동산)'을 놓고 아버지는 오르기를 아들은 내리기를 바라며 싸운다는 이상한 이야기가 언론에 오르내리고 있다. 단순도식화된 위험한 논리가 아닐 수 없으며 설혹 현실이 그렇다고 해도 이를 어떻게 대응해 나갈 것인가에 대한 대안이 좀 더 비중있게 다뤄지는 것이 필요하다.
이제 내일부터는 5일에 걸친 설날 연휴가 시작된다. 모처럼 가족들이 한자리에 모이면 어떻게 살고 있는지, 앞으로는 어떤지에 대한 걱정과 격려가 밥상의 주된 내용이 된다. 매번 경기가 어렵다고는 하지만 올해는 특히 더 우울하고 무겁게 느껴진다고 한다.
그럼 이런 제안은 어떨까. 아주대병원 홍창형 교수팀이 발표한 전국노인실태조사 분석에 따르면 자녀와 주 1회 이상 전화통화를 하고 월 1회 이상 방문 왕래한 노인들이 그렇지 않은 노인에 비해 우울증 발병 비율이 현저히 낮다는 결과처럼 '부모님께 주 1회 이상은 전화를 걸겠다'는 다짐을 가족끼리 하는 것이다.
노후의 삶의 질이란 거창하고 큰 데서 좋아지는 것이 아니라 소소하고 작은 실천을 통해 조금씩 조금씩 개선된다는 것을 공유하고 가능하고 할 수 있는 수준의 목표를 정해서 실천해 본다면 어떨까.
정부의 노인 정책 역시 연령대별 정책이나 노인복지라는 협소한 틀에서 벗어나 우리 삶의 질 전반을 행복하는 만드는 방향과 내용이 무엇인지를 이전의 틀을 벗어던지고 모색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면 우리 모두는 누구나 노인이 될 것이기 때문에.
[이은영 기획위원]
(※ 외부 필진의 원고는 본지의 편집 방향과 일치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