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8일(현지시간) 칠레 산티아고에서 낙태 권리 옹호 시위대가 합법적이고 안전하며 자유로운 낙태를 위한 세계 행동의 날 행사에 참여해 행진하고 있다./산티아고=AP.뉴시스 |
[더팩트ㅣ이동률 기자] 낙태가 엄격하게 금지되고 있는 중남미에서 낙태 합법화가 화두에 올랐다.
'안전하고 합법적인 임신중지를 위한 국제행동의 날'인 28일(현지시각) 칠레, 멕시코, 베네수엘라 등 중남미 국가에서 낙태 합법을 요구하는 시위가 일어났다.
![]() |
28일(현지시간) 칠레 산티아고에서 낙태 권리 옹호 시위대가 합법적이고 안전하며 자유로운 낙태를 위한 세계 행동의 날 행사에 참여해 대형 현수막을 들고 행진하고 있다. /산티아고=AP.뉴시스 |
![]() |
28일(현지시간) 칠레 산티아고에서 낙태 권리 옹호 시위대가 합법적이고 안전하며 자유로운 낙태를 위한 세계 행동의 날 행사에 참여해 가면을 쓰고 행진하고 있다. /산티아고=AP.뉴시스 |
지금까지 중남미 국가에서아르헨티나, 쿠바, 우루과이, 기니아, 멕시코의 네개 주에서만 초기 낙태를 허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다른 나라에서는 성폭행으로 인한 임신, 임신부의 생명이 위험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낙태를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
![]() |
28일(현지시간) 멕시코 수도 멕시코시티에서 라틴아메리카 낙태 합법화를 위한 세계 행동의 날 시위에 참여한 여성들이 손팻말을 들고 도심행진을 하고 있다. /멕시코시티=AP.뉴시스 |
![]() |
28일(현지시간) 멕시코 수도 멕시코시티에서 라틴아메리카 낙태 합법화를 위한 세계 행동의 날 행진에 참여한 여성들이 경찰과 충돌하고 있다. /멕시코시티=AP.뉴시스 |
특히 칠레에서는 낙태 합법 논란이 뜨겁다. 지난해 10월 칠레의 한 여성이 무상 피임약을 받고 복용했으나 피임약이 불량인 탓에 임신을 해 소송을 제기하는 사건이 발생했기 때문이다.
법원은 이 여성의 주장을 받아들여 낙태를 긍정적으로 검토하라고 명령했으며 칠레 하원도 임신 14주 이내의 낙태에 대해 기소하는 것을 금지하는 법안을 마련 중이다.
![]() |
28일(현지시간) 멕시코 수도 멕시코시티에서 라틴아메리카 낙태 합법화를 위한 세계 행동의 날 행진에 참여한 여성들이 경찰 저지벽에 불을 쏘고 있다. /멕시코시티=AP.뉴시스 |
![]() |
28일(현지시간) 베네수엘라 수도 카라카스의 한 광장에서 라틴아메리카 낙태 합법화를 위한 세계 행동의 날 행사에 참여한 여성들이 손팻말을 들고 행진하고 있다. /카라카스=AP.뉴시스 |
한편 한국에서는 누구나 임신중지 수술을 받을 수 있다. '자기 낙태죄'와 '의사 낙태죄'가 올해 1월 1일부터 폐지됐기 때문이다. 따라서 임신중지 수술을 받은 여성과 임신한 여성의 수술을 진행한 의사는 처벌받지 않게 됐다.
더 나아가 여성계는 안전하게 임신중지 수술을 할 수 있는 제도록 갖출 수 있는 보완 입법을 요구하고 있다.
![]() |
28일(현지시간) 베네수엘라 수도 카라카스의 한 광장에서 라틴아메리카 낙태 합법화를 위한 세계 행동의 날 행사에 참여한 한 여성이 올바른 성교육과 피임약에 관해 쓴 손팻말을 들고 행진하고 있다. /카라카스=AP.뉴시스 |
![]() |
28일(현지시간) 베네수엘라 수도 카라카스의 한 광장에서 라틴아메리카 낙태 합법화를 위한 세계 행동의 날 행사에 참여한 한 여성이 자신의 배에 "안전하고 합법적이며 자유로운 낙태"라고 쓰고 행진하고 있다. /카라카스=AP.뉴시스 |
fedaikin@tf.co.kr
사진영상기획부 photo@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