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슬람 무장단체 탈레반 조직원들이 15일(현지 시간) 아프간 수도 카불에 있는 대통령궁을 점령한 뒤 집무실에 진입해 있다. /카불=AP.뉴시스 |
[더팩트ㅣ이동률 기자] 아프가니스탄이 20여년 만에 다시 이슬람 무장단체 탈레반의 나라가 됐다. 아프가니스탄 정권 붕괴 후 수도 카불을 장악한 탈레반이 15일(현지시간) 아프간 대통령궁도 수중에 넣은 뒤 "전쟁은 끝났다"며 사실상 승리를 선언했다.
![]() |
이슬람 무장단체 탈레반 조직원들이 15일(현지 시간) 아프가니스탄 간다하르를 점령한뒤 정찰을 하고 있다. /카불=AP.뉴시스 |
![]() |
14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수도 카불 남서부에 위치한 가즈니에 탈레반 기가 걸려 있다. /카불=AP.뉴시스 |
지난 5월 미군이 철수를 본격화한 이후 공세를 강화한 탈레반은 이달 6일을 전후해 주요 거점 도시들을 장악한 지 10일 만에 수도 카불을 점령했다.
AP통신은 정권을 장악한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 국호를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수장국(Islamic Emirate of Afghanistan)'으로 변경하고, 대통령궁에서 권력 인수를 발표할 예정이라고 전했다.
![]() |
15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카불에 위치한 미국 대사관 인근에서 연기가 피어오르고있다. /카불=AP.뉴시스 |
![]() |
이슬람 무장단체 탈레반 조직원들이 15일(현지 시간) 아프간 수도 카불에 있는 대통령궁을 점령한 뒤 집무실에 진입해 있다. /카불=AP.뉴시스 |
상황이 긴박하게 흘러가자 미국은 아프간 주재 자국공관 직원들의 탈출과 아프간인들의 국외 도피를 돕기 위해 병력을 추가로 파견하기로 했다.
앞서 지난 7일 미국 대사관은 공지를 통해 미국인들에게 상업용 비행기를 이용해서라도 가능한 한 빨리 아프간을 떠나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 |
이슬람 무장단체 탈레반이 아프가니스탄 카불에 진입한 15일(현지시간) 인력 철수에 나선 미군의 치누크 헬기가 카불 주재 미 대사관 상공을 비행하고 있다. /카불=AP.뉴시스 |
![]() |
영국 공군이 15일(현지시간) 대사관 직원 대피를 위해 아프가니스탄 카불에 도착하고 있다. /카불=AP.뉴시스 |
![]() |
이슬람 무장단체 탈레반의 카불 진입이 임박한 13일(현지시간) 아프가니스탄 카불의 하미드 카르자이 국제공항에 시민들이 이동하고 있다. /카불=AP.뉴시스 |
탈레반의 수하일 샤힌 대변인은 탈레반이 수도 카불로 진입한 뒤 AP통신에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이슬람 정부"를 구성하기 위한 대화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아프간 현지 여성들과 일부 시민들은 탈레반이 다시 정권을 장악하게 되면 과거 탈레반 집권기(1996∼2001년)의 '인권 암흑 사태'가 재현될 수 있다는 점을 두려워하고 있다.
fedaikin@tf.co.kr
사진영상기획부 photo@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