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모임 "사도광산 일본 사실 왜곡 승인한 윤 정부, 제2의 매국행위"
입력: 2024.07.29 14:29 / 수정: 2024.07.29 14:29

사도광산 유네스코 유산 등재…강제노동 표현 미사용
"윤석열 정부-일본 조율...진상 밝혀야"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사도광산에 강제징용이 없었다는 일본의 말을 동의해 준 윤석열 정부는 제2의 매국행위로, 이에 대한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사진은 니가타현 사도광산의 아이카와쓰루시간긴잔의 도유노와리토(道遊の割戸) 모습./ 뉴시스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이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사도광산에 강제징용이 없었다는 일본의 말을 동의해 준 윤석열 정부는 제2의 매국행위로, 이에 대한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했다. 사진은 니가타현 사도광산의 아이카와쓰루시간긴잔의 '도유노와리토(道遊の割戸) 모습./ 뉴시스

[더팩트 l 광주=나윤상 기자] 사단법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이 일본 정부의 사도광산 유네스코 등재 조건으로 포함된 전시물에 '강제동원'과 '강제노동'이 빠진 부분을 윤석열 정부가 동의한 것에 대해 "제2의 매국행위"라고 직격했다.

시민모임은 성명서를 통해 "우리 정부는 전체 역사를 사도광산 현장에 반영하라는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ICOMOS)의 권고와 세계유산위원회의 결정을 일본이 성실히 이행할 것과 선제적 조치를 취할 것을 전제로 등재 결정에 동의했다고 밝혔다"면서 "하지만 28일부터 관람이 시작된 전시물에는 '강제동원'과 '강제노동'에 대한 언급이 빠져 있어 이를 외교적 성과로 치장할 수 있는지 의심스럽다"고 주장했다.

앞서 인도 뉴델리에서 열린 제46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회의에서 일본 니가타현 사도광산을 세계유산으로 등재했다. 한⋅일정부는 사도광산 조선인 노동자 문제와 관련해 전체 역사를 보여준다는 전제 하에 전시 시설과 내용 등에 합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27일 요미우리 신문은 '사도광산 세계유산 유네스코 결정 한국도 찬성'이라는 기사에서 "사도광산 등재를 두고 한⋅일 양국 정부가 한반도 출신자를 포함한 노동자와 관련해 현지 전시시설에서 '강제노동' 문구를 사용하지 않고 당시 생활상 등을 설명하는 것으로 사전에 의견을 모았다"고 보도했다.

시민모임은 "이번 사안에 대해 외교부는 강제성 표현 문제는 2015년에 이미 정리되어 이 문제를 놓고 일본과 협의했던 것은 아니다고 밝혔는데 만약 요미우리 보도가 사실이라면 이는 심각한 문제다"고 지적하면서 "한반도 불법 강점과 강제노동과 강제동원을 부인하는 일본 정부에 항의는커녕 일본 정부의 주장을 한국 정부가 나서서 승인해 준 꼴이기 때문이다"고 설명했다.

일본 정부가 전체 역사를 강조하고 있지만 2015년 군함도 사태를 보면 사도광산의 전체 역사에서 조선인 노동자에 대해 '강제동원', '강제노동'이라는 표현을 쓸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일본 정부는 2015년 군함도 유네스코 등재를 하면서 '전체 역사'에서 조선인 강제징용 역사를 알리겠다고 국제사회와 약속을 했지만 이후 이를 지키지 않았다.

유네스코 세계위원회가 이에 대해 '국제사회와 한 약속을 지켜라'라는 보고서를 내자 2020년에서야 군함도 지역이 아닌 도쿄에 '산업유산정보센터'를 개설했다. 하지만 여기에서도 일본은 '강제동원'의 역사는 적시하지 않았다. 심지어 군함도를 유네스코에 등재할 당시 일본 유네스코 사토 구니 대사가 인정한 조선인 강제징용에 대해서도 등재 이후 일본 정부는 사토 대사가 사실관계를 잘 못 알고 실언했다는 식으로 변명하기도 했다.

시민모임은 "일본의 의도를 모를리 없는 우리 정부가 버젓이 등재에 동의해 줬다면 이는 우리 정부가 일본 정부의 사실왜곡을 승인해 준 꼴이고 이는 제2의 매국행위이다"며 "이에 대한 철저한 진상규명이 필요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kncfe00@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실시간 TOP10
정치
경제
사회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