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 신호로 구동되는 다진법 연산 반도체 소자 기술 개발
입력: 2024.07.08 10:04 / 수정: 2024.07.08 10:04

경상국립대 박준홍 교수, 전남대 허재영 교수 공동 연구

경상국립대 박준홍 교수, 전남대 허재영 교수(왼쪽부터)/경상국립대
경상국립대 박준홍 교수, 전남대 허재영 교수(왼쪽부터)/경상국립대

[더팩트ㅣ진주=이경구 기자] 경상국립대학교는 공과대학 나노·신소재공학부 박준홍 교수팀과 전남대 허재영 교수팀이 공동으로 광 민감성 반도체 소재를 활용해 빛으로 작동하는 차세대 다진법 메모리 소자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현존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정보를 0과 1의 디지털 신호로 바꾸어 처리하는 이진법을 기반으로 하고 있어 막대한 데이터 처리 수요를 감당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다진법 컴퓨팅은 한 개의 소자에 전하 축척에 따른 여러 전도도 상태를 저장할 수 있어 전력 소비는 낮추고 디지털 변환 없이 연산 속도를 높일 수 있는 차세대 컴퓨팅 시스템이다. 하지만 신호 인가에 각기 다른 정밀한 전도도 제어가 필요하고, 인간의 두뇌와는 달리 다영역 신호에 따른 전송-저장 구동 여부에 한계가 있었다.

이에 박준홍-허재영 교수 연구팀은 기존 태양전지 광흡수층으로 연구 중인 삼황화안티몬의 물성을 정밀하게 제어해 인간의 두뇌를 모방한 인공 신경망 반도체 소자를 만들었다.

삼황화안티몬에 빛 또는 전압이 가해지면 자유전자가 생성되어 흐르다가 소재 내 존재하는 정공에 갇혀 전도도가 가변적으로 바뀌어 10개 이상의 상태로 나뉘게 되고 또한 안정적으로 유지되었다. 따라서 기존의 이진법 연산 중심의 반도체 소자에 적용 시 더욱 빠른 정보 처리가 가능하다.

특히 신경망 소자에 전기 대신 빛을 신호로 인가해 유사하게 5개 이상의 전도도 상태를 유지하는 데에도 성공함으로써 인간의 시각과 두뇌 기능을 단일 소자에서 구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연구진은 "기존 실리콘 시모스 기반 디지털 연산 처리 속도의 기술적 한계를 극복해 엣지컴퓨팅 및 다중모달 인공지능 시스템 등 개인화가 급격히 진행되는 미래 시스템 기술의 상용화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온라인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주관 국가반도체연구실 사업, 개인기초 사업, 차세대 지능형 반도체 기술개발 사업의 지원으로 수행했다.

hcmedia@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실시간 TOP10
정치
경제
사회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