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시 허술한 공용차량 관리…유류비 '0원'인데 세차·수리비로 '1600여만 원' 지출
입력: 2024.06.14 12:06 / 수정: 2024.06.14 12:52

유류비 미기록, 담당-회계부서 간 지출 내역 불일치
담당자는 해당사실 전혀 몰라
구매 1년 안된 차량 초과 구조변경에 예산낭비


경주시청 전경./경주시
경주시청 전경./경주시

[더팩트ㅣ경주=최대억 기자] 경북 경주시가 공용차량 유류비를 다른 차량 지출 비용에 포함시키는 등 모호하게 기록·관리를 하고 있어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뿐만 아니라 구매한 지 1년이 채 안된 15인승 중형버스를 수백만 원의 예산을 투입해 17인승으로 구조변경한 점도 논란이다.

14일 <더팩트>가 최근 3년간 경주시 회계 부서의 ‘공용차량 운용 현황(읍면동 제외·본청 등록 차량 기준)’을 확인한 결과 시청 공용차는 해마다 2대씩 늘어 2021년 100대, 2022년 102대, 2023년 104대였는데, 이 중 25대 차량의 유류비 지출 내역은 ‘0원’으로 기록돼 있었다.

그런데 이들 해당 차량에 지출된 세차비와 수리비는 각각 1008만 5000원, 647만 9000원으로 회계 처리됐다. 단 한 방울도 주유하지 않은 차량 25대에 총 1656만 4000원의 세차·수리비가 쓰인 것이다.

시 해당 부서는 이러한 회계처리 사실을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있었다. 심지어 세차 및 수리비가 24만 9000원이 발생한 니로EV(중형승용)의 경우 2년간 1만 8470㎞를 주행했지만 기록에는 ‘0’으로 처리돼 있었는데, 오히려 이 내용을 확인하는 취재진에게 되묻기까지 했다.

이후 시 관계자는 "잘 몰랐는데 확인해보니 유류 비용 처리를 다른 차량에 포함시켜 (0원으로)된 것 같다"며 "지금부터라도 분리해서 잘 처리하겠다"고 해명했다.

경북 경주시 ‘공용차량 운용 현황’에는 세차·수리비 집행내역이 있는 차량 상당수가 유류비 지출은 ‘0원’으로 기록돼 있다./경주=최대억 기자
경북 경주시 ‘공용차량 운용 현황’에는 세차·수리비 집행내역이 있는 차량 상당수가 유류비 지출은 ‘0원’으로 기록돼 있다./경주=최대억 기자

이뿐만 아니라 경주시의 계획성 없는 차량 구매로 인한 예산 낭비도 드러났다.

2022년 12월에 조달 구매한 뉴-카운티(중형승합) 15인승 공용차는 지난해 11월 구조변경(17인승) 수리비 등으로 402만 2000원을 지출했다. 탑승 인원 초과 등으로 충격완충장치(판스프링)에 진동이 심해지자 차체와 바퀴 사이에 장착된 쇼크업소버 수리와 2인석 시트 장착 등 17인승으로 개조하는 데 비용을 들인 것이다.

국내 승합차 종류는 15인승 뉴카운티(전장 7085㎜)와 25인승 뉴카운티(전장 7085㎜) 등이 있다.

애초 17인 이상이 탑승할 수 있는 25인승을 두고 굳이 추가 예산까지 들여가며 차량의 흔들림에 대한 브레이크(저항) 장치에 구조변경 승인(15인승→17인승)을 받은 이유에 대해 시 관계자는 "승차감이 좋지 않아 수리했다"면서도 "저희는 한 명이라도 더 태우면 좋으니까, 25인승은 시트 자체가 달라서"라고 설명했다.

'한 명이라도 더 태우면 좋다'면서도 '25인승은 시트가 다르다'는 오락가락한 답변은 시가 무계획적으로 공용차량을 구매하고 있다는 방증인 셈이다.

이렇듯 경주시는 공용차량 유류비 누락, 해당 부서와 회계 부서 간 지출 내역 불일치, 탑승 초과 구조변경 등 원칙을 어긴 운행 실태를 보이고 있는데, 이를 감시해야 할 경주시의회의 관련 감사는 뒷전인 상황이다.

이와 관련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많은 탑승 인원 충족이 목적이면 애초 25인승을 구매하면 될 것인데, 한심한 작태이다"면서 "본청뿐 아니라 시 산하 등 전체 공용차량(340대)의 운용 집행내역에 대한 시의회의 총체적 감사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tktf@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실시간 TOP10
정치
경제
사회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