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승원 광명시장 "행정 환경에 흔들리지 않는 시민 네트워크 형성해야"
입력: 2024.06.12 18:25 / 수정: 2024.06.12 18:25

광명시, 풀뿌리 민주주의 성과와 미래 논의하는 청(聽)책토론회 개최

11일 광명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자치분권 사업 청(聽)책토론회 모습./광명시
11일 광명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린 자치분권 사업 청(聽)책토론회 모습./광명시

[더팩트|광명=김동선 기자] 경기 광명시는 한국지방자치학회와 공동으로 11일 시청 대회의실에서 광명시 자치분권 사업의 성과를 진단하고 향후 발전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30만 시민의 목소리를 듣다!’를 주제로 하는 토론회를 개최했다.

12일 광명시에 따르면 이번 토론회는 시민과의 소통 채널을 넓히고, 시민들의 고민을 담아 정책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도입한 ‘청(聽)책토론회’로 진행됐다. 토론회에서는 시민과 시민단체 관계자, 관계 공무원 등 120여 명이 참여해 자치분권과 시민참여 사업에 대해 논의했다.

토론회에서는 공동주최 기관인 한국지방자치학회 고문이자 가천대학교 명예교수인 소진광 교수가 첫 번째 발제를 진행했다.

소진광 명예교수는 발제에서 "풀뿌리 민주주의는 자치분권의 명분이자 시민참여로 정책을 만들고 실현하는 과정"이라며 "광명시는 협치 거버넌스를 통해 지속가능한 지역발전 실현을 선도적으로 추진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소 명예교수는 이어 "시민 스스로가 주인의식을 가지고 지역의 문제에 참여해야 진정한 자치분권이 실현된다"고 강조했다.

한국지방자치학회 부회장인 이향수 건국대학교 교수는 구로자량기지 광명 이전 백지화, 주민참여예산제 등 구체적으로 시민이 참여하는 사업을 주제로 발제를 진행했다.

이 교수는 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 백지화 사업에 대해 "투명하고 지속적인 정보제공으로 무관심했던 시민의 관심을 이끌어내며 정교한 의사결정이 가능해진 대표적인 사례"로 진단하고, 시민 스스로 정책을 결정하여 자치분권의 의미를 경험한 점을 높이 평가했다.

광명시 자치분권협의회 송창석 위원은 토론에서 "주민 참여 활동 이후 시민네트워크를 구성해 시민 스스로 지역발전을 위한 역할과 태도를 고민해야 할 시점"이라며 "이 과정에서 담당 공무원의 정보제공과 협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행정 환경이 변해도 흔들리지 않는 시민 참여 네트워크 형성을 위해 민관이 함께 협력해야 한다"며 시민과 실무자 간 소통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박 시장은 또 "자치분권 청책토론회는 그동안 광명시가 자치분권 사업을 추진하면서 잘한 점과 잘하지 못한 점에 대해 시민 목소리를 듣고 성찰하며 한 단계 더 나아가기 위한 시간"이라며 "시민과 전문가 의견을 적극 수렴해 광명시 자치분권만의 정체성을 확립하겠다"고 말했다.

vv8300@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실시간 TOP10
정치
경제
사회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