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명시, 고독사 예방·관리조례 제정 등 고독사 대책 추진
입력: 2024.03.26 20:06 / 수정: 2024.03.26 20:06

찾아가는 보건복지 서비스 강화…박승원 시장 "더 촘촘·든든·안전하게 지원"

2024년 광명시 고독사 예방 대책 보고회 모습/광명시
2024년 광명시 고독사 예방 대책 보고회 모습/광명시

[더팩트|광명=김동선 기자] 경기 광명시는 26일 광명시민회관에서 ‘2024년 광명시 고독사 예방 대책 보고회’를 열고, 오는 4월부터 고독사 예방 대책본부를 가동하는 등 적극적인 고독사 방지 대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지난 2022년 정부가 발표한 고독사 현황 조사에 따르면 2017년부터 5년간 고독사는 연평균 8.8%씩 가파르게 증가하는 추세이다. 광명시 경우 현재 세대의 30% 이상이 1인 가구이며, 1인 가구의 39.3%가 중장년이다. 2018년 이후 노인 인구가 증가해 2024년 현재 고령화율이 16.8%에 이르고 있다.

박승원 광명시장은 "사회적 취약계층에 대한 적극적인 발굴과 개입, 섬세한 지원으로 고독한 삶부터 막아야 고독사를 줄일 수 있다"고 대책 추진 배경을 설명했다.

광명시 고독사 예방 대책은 고독사 위험군 발굴을 강화하고 지역주민과 함께 고독사 예방 관리 지원체계를 촘촘하게 마련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우선 4월부터 고독사 예방 대책본부를 구성 운영한다. 매월 1회 정기회의를 통해 정책을 제안하고 효율적인 사업을 위한 각계각층의 협력을 강화한다.

고독사 위험군 발굴을 강화하기 위해 동별 취약계층 방문 가구 목표제를 시행한다. 매월 가정방문을 정례화해 연간 8000가구 이상을 방문할 예정이다. 또한 상시 안부 확인이 필요한 가구를 대상으로 인적안전망을 활용한 안부확인 시스템을 구축한다.

위기 가구 발굴을 위한 동 행정복지센터의 기능을 강화한다. '고립 1인 가구 상담가'를 신규 양성하고, 위기 의심 가구에 대해 집배원이 복지정보 안내문을 배달하며 생활실태를 수집하고 위기 가구를 선제적으로 발굴할 수 있도록 '복지등기 우편 서비스'도 신설한다.

위기 가구를 신고한 시민을 포상하는 신고포상금제도 도입한다. 스마트 돌봄기기를 활용해 위기 가구를 모니터링하는 ‘광명마을안전돌보미’는 2개 동에서 18개 동으로 전면 확대한다.

위기 가구 지원도 강화한다. 위기 상황의 주민에게 생활, 동행, 주거안전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누구나돌봄 서비스'를 시행하고, 무연고 사망자 유품을 정리하는 특수청소 사업, 저소득 어르신 상조 서비스를 시행한다. 가족을 돌보는 18~34세 청년의 생활 안정과 복지 증진을 위해 추가돌봄비와 심리상담비, 자기계발비를 지원한다.

사회적 고립 해소를 위해 고독사 취약계층과 지역사회의 연결을 강화한다. 1인 가구를 위한 '마음e음' 커뮤니티 공간을 운영하며, 중장년 1인 가구와 보건의료 취약자를 대상으로 주 1회 대화형 AI로 음성 안부를 확인하는 'AI 캐어콜 건강관리사업'을 추진한다. 소방서 119안심콜과 연계한 스마트 플러그 설치 사업, 독거노인 대상 로봇 활용 돌봄 서비스인 '우리집에 보미(봄이 오다)' 사업을 시행한다.

한편 시가 발표한 고독사 예방 사례를 보면 광명시 거주 70대 A 씨는 이혼으로 가족 관계가 끊긴 후 산속 무허가 비닐하우스에서 생활했는데, 다리가 불편하고 알코올 의존증까지 심한 상태였다. 하지만 지난해 8월 이웃 제보로 응급 이송된 후에도 여러 차례 응급 상황을 맞았으나 복지관 등의 적극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몸을 회복할 수 있었다.

시는 A 씨가 이달 말 치료를 마치고 퇴원하면 노인 일자리를 연계해 사회 복귀를 돕는 한편, 노인 맞춤 돌봄 서비스, 푸드뱅크 등 복지 자원을 입체적으로 연결해 A 씨의 삶에서 '고독'을 지워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vv8300@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실시간 TOP10
정치
경제
사회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