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및 전자공학부 유회준 교수 연구팀, 기존 GPU보다 911배 빨라
복잡한 소프트웨어 없이 일반인도 손쉽게 3D 모델 제작
메타브레인 데모 화면 / KAIST |
[더팩트 | 대전=박종명 기자] 국내 연구진이 3차원 실사 이미지를 구현하는 메타브레인을 개발했다.
KAIST는 전기및전자공학부 유회준 교수 연구팀이 실사에 가까운 이미지를 렌더링할 수 있는 인공지능 기반 3D 렌더링을 모바일 기기에서 구현, 고속·저전력 인공지능 반도체인 메타브레인(MetaVRain)’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이 개발한 인공지능 반도체는 GPU로 구동되는 기존 레이 트레이싱(ray-tracing) 기반 3D 렌더링을 새로 제작된 AI 반도체 상에서 인공지능 기반 3차원으로 만들어 3D 모델 제작에 드는 비용을 크게 줄이고, 사용되는 메모리를 180배 이상 줄일 수 있다.
특히 블렌더(Blender) 등의 복잡한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던 기존 3D 그래픽 편집과 디자인을 간단한 인공지능 학습만으로 대체해 일반인도 손쉽게 원하는 스타일을 입히고 편집할 수 있다.
유 교수팀이 개발한 메타브레인은 인공지능 기반 3D 렌더링 기술에 최적화해 최대 100FPS 이상의 렌더링 속도를 달성했다. 기존 GPU보다 911배 빠른 속도다. 1개 영상화면 처리 당 소모에너지를 나타내는 에너지효율도 GPU 대비 2만6400배 높였다.
유회준 교수와 한동현 박사과정 / KAIST |
연구를 주도한 KAIST 전기및전자공학부 유회준 교수는 "현재 3D 그래픽스는 사람이 사물을 어떻게 보고 있는지가 아니라 사물이 어떻게 생겼는지를 묘사하는데 집중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는 인공지능이 사람의 공간 인지 능력을 모방해 사람이 사물을 인식하고 표현하는 방법을 차용함으로써 효율적인 3D 그래픽스를 가능케 한 연구"라고 말했다.
한동현 박사과정이 제1 저자로 참여한 이번 연구는 지난 2월 18일부터 22일까지 전 세계 반도체 연구자들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모여 개최한 국제고체회로설계학회(ISSCC)에서 발표됐다.
thefactcc@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