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비전2030정책네트워크·내일포럼이 17일 대전 오페라웨딩홀 ‘지방 대학의 붕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정책세미나를 진행하고 있다. / 대전 = 김성서 기자 |
대전비전2030정책네트워크·내일포럼 정책세미나…"도시와 대학은 공동 운명체"
[더팩트 | 대전=김성서 기자] 지방 대학의 위기로 가장 큰 피해를 보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방자치단체의 보다 적극적인 역할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교육부와 해당 대학만 바라 볼 것이 아니라 적극적인 대응과 연대로 어려움을 타계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전비전2030정책네트워크·내일포럼은 17일 대전 오페라웨딩에서 ‘지방 대학의 붕괴,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정책세미나를 진행했다.
이날 발제자로 나선 주상현 전북대 입학처장은 "5년 내에 비수도권에서 입학 정원 2000명 규모의 대학 90여개가 폐교 수순을 밟게 된다는 통계가 나와 있다"면서 "지방대 위기의 원인은 수도권 집중도 심화, 대학 구조조정 실패와 열악한 교육재정에 있는 만큼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지원의 범위에 대학을 포함하는 법률 개정이 필요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위기 극복을 위해 대학 자체의 혁신 노력도 중요하지만 대학과 지자체, 교육청이 협력 거버넌스를 구축해 지역에 특화된 산업체 인력 양성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박백범 대전대 석좌교수(전 교육부 차관)는 "대학에 대한 재정 지원이 필요하지만 고정적인 재정 투자에 대해 국민들이 쉽게 받아들이지 않는다"면서 "지방대학들의 혁신을 위해서는 지자체가 대학을 지원하고, 지역의 산업체 및 지식 융합적인 문화산업이 대학과 밀접하게 협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전문대와 특성화 고교도 중견 기업과 중소기업, 서비스산업을 위주로 한 자영업 등과 밀착해 산학 협력을 하고, 교육청과 지자체는 이를 지원하며 이끌어야 지역의 산업생태계가 살아날 것"이라며 "단순히 인재를 길러내는 수준에서 벗어나 지역에 상주할 수 있도록 주택 문제, 청년문화 등을 해결하는 방안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종태 서구청장은 "도시와 대학은 공동 운명체라고 생각해 최근 관내 대학 총장들과 간담회를 개최했지만 구청장으로서의 한계를 느꼈다"면서 "대학을 지역 발전을 이끄는 창업 지원 기관을 넘어서 직업교육과 평생교육의 메카로 자리매김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4차 산업혁명의 파도를 해쳐나가기 위해서는 대학의 존재는 필수불가결이라고 생각한다"며 "산학협력을 통해 도시를 새롭게 만들기 위해 지자체와 더 강한 협력과 연계에 나서야 어려움을 타계할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thefactcc@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