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충청권 광역생활경제권 전략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에 참석한 허태정 대전시장(왼쪽부터), 이시종 충북지사, 이춘희 세종시장, 양승조 충남지사가 기념 촬영을 하고 있다./세종시 제공 |
대전세종연구원, 초광역 미래 모빌리티 산업생태계 조성 등 제안
[더팩트 | 세종=이훈학 기자] 충청권 4개 시·도가 참여하는 충청권 메가시티의 협력 프로젝트로 경제자유구역, 광역교통망 구축, 초광역 미래 모빌리티 산업생태계 조성 등이 제시됐다.
대전시, 세종시, 충북도, 충남도는 23일 대전세종연구원에서 '충청권 광역생활경제권 전략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회를 가졌다.
이날 보고회에서 대전세종연구원은 충청권 메가시티의 강점으로 인구 대비 지역 내 총생산(GRDP)이 타 광역권에 비해 높은 점을 꼽았다.
반면 수도권 대응 역량과 규모의 경제가 다소 약해 수도권과 동남권의 샌드위치가 될 우려가 있고, 국제공항과 동서 연결망 등 권역 내부 광역교통체계가 미흡한 점을 약점으로 지적했다.
충청권 메가시티의 기회로는 혁신도시, 기업도시, 과학벨트, 내륙 첨단 산업권역을 두루 갖춰 대도시-중소도시-농어촌 연결망 구축을 통한 다핵 중심 네트워크 권역 도입이 유리할 것으로 평가했다.
다만 수도권 인재 유출이 심하고 지역 내 청년인구가 차지하는 비중(10.4%)이 낮은 점을 위기로 꼽았다.
이 같은 분석 아래 분야별 프로젝트로 경제자유구역(가칭) 통합 추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혁신 성과 확산, 충청권 스마트 모빌리티 플랫폼 구축, 충청권 권역 간 30분 생활권을 비전으로 광역철도망과 도로망, 스마트 모빌리티 등 미래 교통체계 구축 등을 제시했다.
또 동북아 바이오메디컬 허브 구현, IT/BT 중심의 스마트 기업 주도형 산업밸리 조성, 충청권 문화관광 통합 브랜드와 서비스 플랫폼 구축 등을 제안했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추진 로드맵으로는 1단계 지역 현안과제 해결, 2단계 생활권·경제권 협력 관리청 운영을 거쳐 최종 3단계에서는 광역연합 또는 특별자치단체를 도입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세부 과제와 추진 로드맵은 오는 11월까지 진행될 연구용역을 통해 보다 구체화할 전망이다.
이춘희 세종시장은 "4개 시·도가 공감할 수 있는 실행력 높은 구체적인 공동 사무를 발굴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며 "국가 정책 방향과 사회 환경 변화를 반영해 협력 과제를 공동 사무로 발전시키는 방안이 도출되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thefactcc@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