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은 ‘4‧3평화‧인권교육 중장기 계획 연구 용역 최종 보고서’에서 연구진들이 "중장기 4‧3평화‧인권교육을 위해 풍부한 컨텐츠 및 자료를 온라인으로 쉽게 접근,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아카이브’가 구축돼야 한다"고 제안했다고 30일 밝혔다. / 제주도교육청 제공 |
최종보고서 "4‧3평화‧인권교육 온라인 아카이브‧플랫폼 구축해야"
[더팩트ㅣ제주=김용덕 기자] 제주특별자치도교육청은 ‘4‧3평화‧인권교육 중장기 계획 연구 용역 최종 보고서’에서 연구진들이 "중장기 4‧3평화‧인권교육을 위해 풍부한 컨텐츠 및 자료를 온라인으로 쉽게 접근,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아카이브’가 구축돼야 한다"고 제안했다고 30일 밝혔다.
도교육청은 30일 오후‘4‧3평화‧인권교육 중장기 계획 연구 용역 최종 보고회’를 제주대학교 인문대학 2호관 진앙현석관에서 개최한다.
최종보고회는 4‧3평화교육위원, 4‧3평화‧인권교육 관계자, 전문가, 연구진 등이 참석했다. 보고회는 연구 책임자인 양정필 제주대 교수가 ‘4‧3평화‧인권교육의 원칙과 지침, 중장기 계획 등’을 발표한다.
연구에 참여한 고동민 제주중앙여고 교사가 ‘4‧3평화‧인권교육 교육과정 개발 및 교수‧학습자료’ 주제로 발표한다.
발표 후에는 박찬식‧김창후 전 제주4‧3연구소장과 송시우 제주고등학교 교사의 지정 토론과 종합토론 등이 진행한다.
최종보고서에서 연구진은 ‘아카이브 구축’에 대해 "현재 4‧3관련 자료는 평화재단과 교육청 홈페이지 등 여러 곳에 분산돼 있다"며 "제공되는 자료들은 체계적으로 정리되지 않아 익숙치 않은 사람은 이용에 어려움이 크다"고 진단했다.
이어"온라인 아카이브는 4‧3관련 사료 및 문화예술 자료, 증언자료 등에 대해서 주제별, 유형별, 영역별로 접근이 가능하게 구성돼야 한다"며 "아카이브 구축은 꽤 오랜 시간과 적지 않은 예산을 요구하지만, 구축하면 오랫동안 활용할 수 있고 4‧3교육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다. 4‧3교육의 전국화‧세계화에도 도움될 것"이라고 밝혔다.
아카이브 설계안에 대해 연구진은 "가장 기본적인 ‘4‧3에 대한 Q&A’를 해결하는 아카이브여야 한다"며 "4‧3 평화기념관 상설 전시실 자료를 교육에 활용할 수 있어야 하고, 4‧3사료 및 문화예술 자료, 증언자료 등 1차 자료에 대한 전문적인 설명(해설)이 포함된 2차 가공된 컨텐츠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또 4‧3평화‧인권교육 자료를 민주시민교육, 인권교육, 다문화교육, 평화통일교육, 생태환경교육 등에서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4‧3 기반 온라인 플랫폼’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연구진은 "4‧3은 오랜 시간에 걸쳐 전개됐다. "4‧3은 우리나라 학교교육에서 진행되는 민주시민교육, 인권교육, 다문화교육, 통일교육, 생태환경교육, 젠더교육과도 연계되는 접면이 매우 많다"며 "이 때문에 온라인 플랫폼을 통해 교육이 실현하고자 하는 목적에 따라 4‧3의 원천자료를 다양한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진단했다.
연구진은 중장기 방안에 대해서도 △4‧3교육 전담팀 조직 및 운영 △4‧3교육 조례 개정 △4‧3교수 역량 강화 △교육 자료 개발 △학생주도 4‧3학습 △유관기관과 협력 강화 △교과서 서술 강화 등을 제안했다.
도교육청 민주시민교육과장은 "4‧3평화‧인권교육은 그동안 많은 성과가 있었다. 하지만 코로나19에 따른 온라인 교육 수요 증대, 4‧3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연계 필요성, 4‧3후세대에 대한 4‧3기억 전승의 시급성 등을 반영해 4‧3평화‧인권교육의 중장기 계획을 재수립할 필요가 있어 연구를 진행했다"며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교육 구성원들과 충실히 소통하면서, 미래 변화에 부응하는 지속 가능한 4‧3평화‧인권교육 토대를 구축할 것"이라고 했다.
한편 도교육청은 4‧3평화‧인권교육의 현황 및 한계점을 분석하면서, 중장기 계획을 수립하기 위해 제주대학교 평화연구소(책임연구원 양정필 교수)에 의뢰해 ‘4‧3평화‧인권교육 중장기 계획 연구 용역’을 2019년 12월 17일부터 올해 30일까지 진행했다.
hyejun@tf.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