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토함산 석탈해 사당지, 고려후기 불국사와 함께 중건 알수 있는 자료 다량출토
입력: 2020.11.03 16:43 / 수정: 2020.11.03 16:43
3일 경주시와 신라문화유산연구원은 경주 토함산 석탈해 사당지 유적 긴급 발굴조사에서 사당지와 관련된 건물지 2동과 통일신라시대 암막새와 평기와, 고려시대 명문기와, 청자, 분청사기, 철제마, 청동방울, 토제마 등의 중요 유물을 확인했다고 밝혔다.사진은 사당 유적지 남쪽 축대./경주시제공
3일 경주시와 신라문화유산연구원은 경주 토함산 석탈해 사당지 유적 긴급 발굴조사에서 사당지와 관련된 건물지 2동과 통일신라시대 암막새와 평기와, 고려시대 명문기와, 청자, 분청사기, 철제마, 청동방울, 토제마 등의 중요 유물을 확인했다고 밝혔다.사진은 사당 유적지 남쪽 축대./경주시제공

고려시대 명문기와, 청자, 분청사기, 철제마, 토제마 등 유물 출토

[더팩트ㅣ경주=오주섭기자] 고려 후기 몽고족의 침입 이후 계사년(1353)에 불국사와 함께 석탈해 사당도 중건 됐음을 알 수 있는 자료가 다량 출토됐다. 이번 발굴 조사된 사당지 주변 군사관련 시설도 분포하고 있을 가능성이 제기 돼 체계적인 조사와 성격규명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뿐만아니라 사당지 주변 조선시대 봉수대와 관련된 시설과 넓은 면적에 신라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친 기와와 토기 파편이 흩어져 있어 당시대 연구에 중요한 참고 자료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3일 경주시청(시장 주낙영)과 신라문화유산연구원(원장 박방룡)은 경주 토함산 석탈해 사당지 유적 긴급 발굴조사에서 사당지와 관련된 건물지 2동과 통일신라시대 암막새와 평기와, 고려시대 명문기와, 청자, 분청사기, 철제마, 청동방울, 토제마 등의 중요 유물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이번 탈해 사당 발굴에 중심 건물지의 서편에서는 토석축으로 벽체를 조성한 1칸의 부속 건물지도 확인됐다. 건물지에서는 철제마, 토제마를 비롯해 청동방울, 통일신라시대 암막새편, 평기와, 고려시대 명문기와, 해무리굽 청자, 상감청자, 분청사기 등이 출토됐다./경주시제공
이번 탈해 사당 발굴에 중심 건물지의 서편에서는 토석축으로 벽체를 조성한 1칸의 부속 건물지도 확인됐다. 건물지에서는 철제마, 토제마를 비롯해 청동방울, 통일신라시대 암막새편, 평기와, 고려시대 명문기와, 해무리굽 청자, 상감청자, 분청사기 등이 출토됐다./경주시제공

신라문화연구원에따르면 이번에 확인된 건물지는 고려후기에 마지막으로 중건된 건물의 흔적이라는 설명이다. 중심 건물지는 동서 2칸 남북 1칸으로 기반층 상부에 황갈색 점토로 대지를 정지한 후에 조성됐다고 덧붙였다.

중심 건물지의 서편에서는 토석축으로 벽체를 조성한 1칸의 부속 건물지도 확인됐다. 건물지에서는 철제마, 토제마를 비롯해 청동방울, 통일신라시대 암막새편, 평기와, 고려시대 명문기와, 해무리굽 청자, 상감청자, 분청사기 등이 출토됐다.

토제마는 흙으로 구운 말 인형이고 철제마는 쇳물을 부어 만든 말 인형이다. 청자와 분청사기는 화로나 잔 받침 등 제사와 관련된 기종이 많다.

이번에 발굴된 기와 중에는 ‘癸巳年 分施主 尹山 崔字 李堅’ 의 명문이 찍힌 기와가 다량으로 출토됐다.기와에 새겨진 시주자 중의 한 명인 이견은 고려 후기의 무인으로 1350년에 종 2품인 지밀직사사에 임명됐고, 1360년 홍건적 침입 당시 함종전투에서 전사한 인물로 추정된다./경주시제공
이번에 발굴된 기와 중에는 ‘癸巳年 分施主 尹山 崔字 李堅’ 의 명문이 찍힌 기와가 다량으로 출토됐다.
기와에 새겨진 시주자 중의 한 명인 이견은 고려 후기의 무인으로 1350년에 종 2품인 지밀직사사에 임명됐고, 1360년 홍건적 침입 당시 함종전투에서 전사한 인물로 추정된다./경주시제공

기와 중에는 ‘癸巳年 分施主 尹山 崔字 李堅’ 의 명문이 찍힌 기와가 다량으로 출토됐다. 이 기와는 불국사 성보박물관부지의 발굴에서도 다수 확인 된 바 있다.

기와에 새겨진 시주자 중의 한 명인 이견(李堅 ? -1360)은 고려 후기의 무인으로 1350년에 종 2품인 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에 임명 됐고, 1360년 홍건적 침입 당시 함종(咸從)전투에서 전사한 인물로 추정된다.

또 ‘신증동국여지승람’, ‘동경잡기’ 등 지리지와 여러 문집들의 기록에서도 탈해 사당은 조선 전기까지 제사가 유지됐던 것으로 전한다. 이번 발굴조사는 문화재청(청장 정재숙)의 ‘2020년 긴급발굴조사 사업’의 하나로 지난 9월부터 진행됐다.

이 사당지는 ‘삼국유사’ 에도 소개되는데 680년 문무왕 대에 석탈해의 뼈로 소상(塑像)을 만들어 토함산에 동악신으로 모시고 국사(國祀)를 끊이지 않고 지냈다고 전한다.

tktf@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 네이버 메인 더팩트 구독하고 [특종보자▶]
- 그곳이 알고싶냐? [영상보기▶]
AD
인기기사
실시간 TOP10
정치
경제
사회
연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