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는 3일 친일잔재 전수조사 및 처리방안 공청회를 열고 친일인명사전 토대로 조사한 도내 친인인물 119명과 친일잔재 143건에 대해 체계적으로 처리하는 방안을 토론했다. /전북도 제공 |
친일잔재 142건…단죄비 설치, 공간재활용 등 처리 기준 분류 제시
[더팩트 | 전주=한성희 기자] 전북대산학협력단과 전북도는 3일 도청 대회의실에서 전문가와 시군 및 관련기관 관계자 등 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친일잔재 전수조사 및 처리방안 공청회를 열였다.
이날 공청회에서 윤상원 책임연구원은 그동안 용역을 통해 추진한 친일잔재 조사 및 처리방안, 향후 과제를 발표했다.
친일인명사전을 토대로 조사한 도내 친일인물은 119명이며, 친일잔재는 김해강 시비 등 142건에 이르며 친일잔재 처리기준은 청산대상, 이전활용, 단죄비 및 안내판 설치, 시설 및 공간재활용, 교육적 활용 등으로 크게 분류했다.
또 향후과제로 단기과제는 지명 및 도로명 등 무형의 친일잔재 조사, 친일잔재 교육 콘텐츠 제작, 식민지역사교육관 등 설립 타당성 검토, 전라북도 다크 투어리즘 루트를 개발하고, 중기과제는 청산대상 친일잔재 교체·철폐 및 단죄비·안내문 설치, 식민지 유제의 공간 재활용, 친일잔재의 지속적 교육을 제시했다.
마지막 장기과제는 식민지역사공원과 식민지역사교육관을 설립하고 친일과 독립운동을 함께 전시하는 공간으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어 전문가 토론에서 김윤희 전주대 교수는 "식민통치와 관련된 시설물은 청산해야 할 잔재보다는 기억해야 할 역사유적으로 관리해야 하며, 친일과 친일행위에 대한 실질조사와 함께 사회적 합의를 위한 학문적 연구도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김재호 민족문제연구소 전북지부장은 "전북은 일제강점기에 다른 어느 지역보다도 경제적 억압과 수탈이 극심했던 지역으로 아픈 역사를 치유하고 무너진 공동체를 복원하는데 지자체가 적극적으로 앞장서야 한다"면서 "일제강점기 교육 프로그램의 강화와 일제강점기 역사관 건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최훈 행정부지사는 인사말을 통해 "광복 이후 100년이 지났으나 친일잔재 전수조사와 처리방안이 없어, 그동안 지역차원의 친일잔재 청산은 통일된 기준이 없이 산발적으로 진행해왔다"면서 "용역결과를 토대로 도와 시군이 함께 도민 공론화 과정을 거쳐 친일잔재 청산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한편, 전북도는 도내 친일잔재 전수조사 및 처리방안 연구용역을 올해 3월부터 추진하고 있으며, 이날 공청회에서 제시된 다양한 의견을 반영해 11월 중 용역을 마무리할 계획이다.
scoop@tf.co.kr